2025/01/04 5

와 송

와 송  과 명 : 돌나물과학 명 : Orostachys japonicus. Berger 서식지 : 한국,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하고 전석지의 바위틈, 혹은 오래된 기와장위,돌담 등 햇볕이 아주 잘 들고 매우 건조한 곳에서 자란다. 특 징 : 뿌리에서 돋은 잎은 육질이며 로제트형으로 퍼지며 끝이 굳어져서가시 처럼되고 원줄기에 잎이 다닥다닥 달리며 잎자루가 없고 여름철에 나오는근생엽과 더불어 끝이 굳어지지 않고 다만 뾰쪽해질 뿐이며 피침형으로서 녹색이지만자주색 또는 분을 칠한 듯한 백색인 것도 있다. 꽃 : 백색의 꽃이 피며 수상화서는 길이 6~15 cm 로서 화병이 없는 꽃이 밀착하고포는 피침형이며 끝이 뾰쪽하다. 꽃 받침 잎은 5개로서 피침형이고 연한 녹색이며꽃잎도 5개로소 피침형 예두이고 길이 6cm..

옥상 다육이 2025.01.04

홀로 있음으로도 충만한 스님 / 법상스님

홀로 있음으로도 충만한 스님  엊그제 한 도반스님을 만났는데요.그 스님이 스승님으로 존경하는어른 스님의 이야기를 해 주시는데가슴에 와 닿는 무언가가 있었습니다.그 어른 스님은 당신이 보았을 때는아무런 즐거움이 없는 것 같다고 했어요.무언가 삶에 낙(樂)이 없어 보인답니다. 늘 법회하고 기도하고 참선하고 산책하고아니면 방 안에 혼자 앉아 있을 뿐입니다.방 안에는 아무것도 없답니다.책 한 권이 있는 것도 아니고, 컴퓨터가 있는 것도 아니고,아무것도 없는 텅 빈 방에 혼자 좌선을 하고또 기도 시간이 되면 기도하고 법회 시간이 되면 법회하고그 외 시간에는 작은 취미 활동 같은 것도 없다는 거예요. 그냥 방 안에 가만히 앉아 있다는 것입니다.신도님이 오시면 신도님과 이야기 나누다가 또 없으면 들어가 앉아 있고 그..

향기로운 글 2025.01.04

1월 / 주용일

1월 / 주용일 서릿발 차면 하얗게 부서지는수정 얼음들의 찬란한 스러짐 위로낯익은 눈빛의 그대가 왔다거리 두리번거리며 골목 기웃대며눈가루에 희망의 이스트 섞어새로운 양식을 마련하는 우리들 ,불면의 머리 위로 첫눈처럼 다가왔다까치 울음마다 한 땀 한 땀세상 낡고 헐은 곳 기우며뿌연 안개 헤치고 그대는 재림했다안 보이는 찰나를 경계로태양은 이미 어제의 태양이 아니고사람은 벌써 지난 사람이 아니다신의 형상을 본떠 사람이 지은열두 궁궐 삼백육십다섯 칸그 빈 칸 안에 우리들은저마다의 소망과 기도를 쓴다순백의 눈 맞이 걸음 꾹꾹 눌러 찍는다

좋은 글 2025.01.04

어떻게 해결 될지 알수없지만 정말 비교된다.

어떻게 해결 될지 알수없지만 정말 비교된다.  이철훈 2024-12-27 09:58:39 맑고 푸른 바다에 잔잔하고 투명한 속내를 드러내는 환상적인 모습을 한없이 바라 본다. 마치 저 깨끗하고 맑고 푸른 바다에 동화되어 그동안 가슴속에 쌓여 있던 묵은 스트레스까지 깨끗이 정화되는 것같다. 폭풍우를 동반한 엄청난 태풍이 휩쓸고 지나가면 온갖 부유물과 쓰레기가 해변가로 몰려들고 한동안 맑고 푸른 바다를 볼수가 없다.  실망하고 좌절하지 않고 모두 다 힘을 모으고 합심해 열심히 복구 작업을 한 결과 다시 에메랄드의 푸른 바다로 돌아 온다.  한치 앞을 내다 볼수없을 정도의 엄청난 격변의 시기를 지나가고 있다.어떻게 해결되고 마무리될지 예측하기 조차 힘들 정도로 엄청난 소용돌이가 계속되고 있다. 어제 상황과 오..

에세이 2025.01.04

파킨슨병과 구분 어려운 ‘비정형 파킨슨증’, AI로 정확히 진단한다

파킨슨병과 구분 어려운 ‘비정형 파킨슨증’, AI로 정확히 진단한다 신소영 기자 입력 2024.12.29 15:05인공지능(AI) 기반 비정형 파킨슨 증후군 진단 기술이 개발됐다.비정형 파킨슨 증후군은 파킨슨병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희귀 신경계 질환이다. 비정형 파킨슨증은 ▲진행성 핵상 마비 ▲다계통 위축증 ▲피질 기저핵 증후군 ▲루이소체 치매 4가지가 가장 대표적이다. 이들 질환은 초기에는 특발성 파킨슨병과 거의 구분이 안 된다. 그러나 병이 진행되다 보면 특발성 파킨슨병과는 약간 다른 양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진행성 핵상 마비가 진행되면 수직 방향의 눈 운동이 잘 안 된다. 다계통 위축증은 초기부터 기립성 저혈압이나 배뇨장애 등 자율신경 기능 장애가 심하게 나타난다. 내 몸과 물체 사이의 거리를 제..

건강정보 2025.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