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5

불두화

불두화 학명은 Viburnum sargentii(Viburnum opulus ''sterile'')이며 ,인동과의 낙엽지는 작은 키의 나무이다 . 둥근형태의 꽃 모양이 부처님 머리모양을 닮았다 하여 불두화라 하였다 .정원수로 쓰이며 열매를 맺지 않는 상징적 의미 때문인지 사찰에 많이 심겨져 있다 .꽃이 공처럼 아름다워 꽃꽂이용 소재로도 종종 이용된다 . 번식은 꺾꽂이나 접붙이기로 한다 .햇빛이 잘 드는 곳이나 반그늘에서도 잘 자라며 노지월동도 가능하다 . 불두화는 백당나무의 유성화를 없애버리고무성화의 꽃잎만 자라게 한 원예품종이다 .공 모양의 커다랗게 핀 꽃이 인상적이다 . 불두화의 꽃말은 “은혜 , 베품 ”입니다 . --- 출 처 : daum ---

염 좌

염 좌 분 류 : 돌나물과 크라슐라(Crassula)속학 명 : Crassula portulacea 잎의 색은 여러가지 혼합색이며,햇빛과 습도에 따라 잎색이 다르다. 꽃은 겨울에 흰색으로 핀다.번식은 줄기에서 작은 가지를 잘라 삽목해서 번식한다. 생육온도는 26~30℃가 적당하며 30℃이상의 기온에서햇빛을 50%정도 차광하면 생육에 도움이 된다.추위에 약한편이며 겨울 최저온도는 5℃ 이다. 토양은 배수가 잘 되는 토양(모래, 마사토, 난석 비율 높음)이 좋으며,병충해로 진딧물, 응애, 총채벌레 등이 있으며년 중 두 차례 정도 살충제를 살포한다. 생장 속도는 빠른 편이며,물주기는 생장이 일시적으로 멈추는 한 여름에물을 너무 많이 주면 뿌리가 쉽게 썩는다. - 출 처 : daum -

옥상 다육이 2025.05.15

들뜨기와 가라앉기 / 법상스님

들뜨기와 가라앉기 사람 사는 모습을 보면참 복잡한 일이 많기도 합니다.정신없고 분주하고 들떠 있고그러다가 또 축 처지고 나른하고 공허하고...혼침(昏沈) 아니면 도거(掉擧),그 양극단으로 마음이 많이 쏠리는 듯합니다. 혼침이란,마음을 가라앉게 하고 혼미하게 하며축 처져 있는 의욕이 사라진 마음 상태입니다.도거란,마음이 들뜨고 소란스러워 흥분되어 있는그런 마음 상태를 이릅니다. 수행자는 이 두 가지 극단의 마음을잘 조복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늘 들떠 있으면, 마음을 관할 수 없게 되며,나를 놓치고 살기 쉽고,또한 가벼워지기에 일을 그르치기 쉽습니다. 늘 처져 있으면 허무주의에 빠져세상 모든 것이 우울해지거나,마음이 너무 무거워 또한 일을 그르치기 쉽습니다. 혼침과 도거...가만히 생각해 보면우린 참으로 ..

향기로운 글 2025.05.15

초여름 풍경 / 안태운

초여름 풍경 / 안태운 물레는 손 같고 물레는 발 같다 물레를 돌리면물레를 선로에 놓고 기다리면열차를 타고 가는 누군가를 기다리게 되나하지만 어디서어디서 기다려야 할지 모르는 사람처럼어디서 멈춰야 할지 모르는 사람처럼누군가는 서성이고누군가는 떠도는 듯하고선로에서 물레는 돌아가지주위를 지나가는 것들과가령길을 잃은 동물과사람을 잃은 사람과그렇게 한꺼번에 지나갈 때서로가 서로를 눈치채지 못할 때물레를 스쳐가고하지만 어디서어디서 스쳐가는지는 못 보고그 후 선로에서 매미 소리가 쏟아지면쏟아지다 순간 그치면난반사하는 빛과초여름 풍경그 순간은 어쩌면 영원 같았지열차는 그 순간을 스쳐가고물레는 선로 위에 계속 놓여 있어서물레는 손 같고 물레는 발 같다 거기서물레를 데려오면몸에 얹은 채 돌리면어제 본 풍경 같나초여름..

좋은 글 2025.05.15

맛의 성패, 소금이 가른다… 죽염·자염·핑크솔트 제대로 쓰는 법 [주방 속 과학]

맛의 성패, 소금이 가른다… 죽염·자염·핑크솔트 제대로 쓰는 법 [주방 속 과학] 이슬비 기자 입력 2025.05.06 16:00요리의 성패는 '간'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간의 기본인 '소금'을 쓰는 방식에 따라 음식의 맛이 크게 달라진다. 생면 파스타를 만들 땐 '죽염'을 쓰는 게 가장 좋다.'소금'의 종류는 다양한데, 크게 ▲순수 염화나트륨만 추출한 '정제염' ▲염전에서 햇볕과 바람으로 증발시킨 '천일염'으로 나뉜다. 천일염에는 염화나트륨 농도가 80% 정도로, 마그네슘·칼륨 등 다른 미네랄도 함유돼 있다. 이 외 소금에 가열 공정을 가한 모든 소금을 '가공염'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구운 소금, 볶은 소금, 생금, 죽염 등이 있다.부산대 식품영양학과 박건영 교수팀은 농촌진흥청과 함께 ..

건강정보 2025.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