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5 5

노랑제비꽃

노랑제비꽃 분 류 : 쌍떡잎식물 제비꽃(측막태좌)목 제비꽃과의 여러해살이풀.학 명 : Viola orientalis (Maxim. W. Becker)분포지 : 한국(전지역)·일본·중국·헤이룽강 노랑제비꽃은 산의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는 10∼20cm까지 자란다.땅속줄기는 곧게 서고 빽빽이 난다. 잎을 제외하고는 털이 거의 없거나 잔 털이 약간 난다. 뿌리에 달린 잎은 2∼3장으로 심장 모양이고 길이와 나비가각각 2.5∼4cm이며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잎보다 3∼5배 길고 붉은빛을 띤 갈색이다.줄기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없고 마주나며, 앞면은 윤이 난다.턱잎은 넓은 달걀 모양이고 길이 2∼3mm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4∼6월에 노란색으로 핀다. 꽃대는 길이 2∼4cm이며 가..

뉴헨의 진주

뉴헨의 진주 분 류 : Echeveria학 명 : Pearl of nurnberg이 명 : 라일락 밝은 핑크빛 잎의 라인이 웨이브가 약간 있는 다육이다.로제트 길이가 10~13cm 까지 자란다.햇빛이 좋은 곳에서 관리하면 짙은 핑크색으로 변한다.에케베리아 다육 중 가장 아름다운 품종이다. 독일에서 만들어진 하이브리드 교배종이다.라일락과 뉴휀의 진주는 동일한 다육이다.Nurnberg는 독일의 도시 지명이며, Pearl은 진주이다.추위에 비교적 강한 다육이다. 물은 봄~가을에는 2주에 1회동절기에는 월 1회 준다. - 출 처 : daum -

옥상 다육이 2025.05.05

기적이 일어난다 / 법상스님

기적이 일어난다 바깥 세상을 보기는 쉽지만안을 바라보기는 어렵습니다.바깥의 세상이 변해가는 것은쉬 눈으로 보고 헤아릴 수 있지만,내면의 변화는 그렇게 쉽게 볼 수 없는 노릇입니다. 수행이란 바깥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내면을 그것도 아주 천천히 바꾸어 가는 것입니다.그러다 보니 너무 느리고 그런데다가쉬 그 변화를 볼 수 없다 보니조급증과 답답한 마음이 일어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 더딘 내면의 변화는 경이롭기까지 한아주 강력하고 획기적인 변화입니다.바깥 세상을 수십 번 바꾸고 들었다 놓았다를몇 번 하는 것보다 차라리 내면의 발걸음을내딛는 것이 더 큰 기적입니다. 우리가 수행을 할 적에 우리의 내면은기적과도 같은 맑은 변화가 일어납니다.단지 느끼지 못할 뿐...쉬 피부로 느끼려 하고, 눈으로 보려 하..

향기로운 글 2025.05.05

서로 기대고 사는 인연 / 송정림

서로 기대고 사는 인연 / 송정림 인간인 우리는 많은 사물과 자연에 기대어 살아갑니다.우울한 날에는 하늘에 기대고, 슬픈 날에는 가로등에 기댑니다.기쁜 날에는 나무에 기대고, 부푼 날에는 별에 기댑니다.사랑하면 꽃에 기대고, 이별하면 달에 기댑니다.우리가 기대고 사는 것이 어디 사물과 자연뿐이겠습니까.일상생활에서 우리는 수많은 사람들에 기대어 살아갑니다.내가 건네는 인사는 타인을 향한 것이고, 내가 사랑하는 사람도 나 아닌 타인입니다.나를 울게 하는 사람도 타인, 나를 웃게 하는 사람도 타인입니다.사람이 사람에게 비스듬히 기댄다는 것은 그의 마음에 내 마음이 스며드는 일입니다.그가 슬프면 내 마음에도 슬픔이 번지고, 그가 웃으면 내 마음에도 기쁨이 퍼집니다.서로 서로 기대고 산다는 것, 그것이 바로 인연..

좋은 글 2025.05.05

건망증 없애는 6가지 방법

건망증 없애는 6가지 방법 가스는 잠구고 나왔나? 휴대폰을 냉장고에 깜박....... 뇌 양쪽에 있는 ‘해마’가 핵심 키워드. 직경 1cm, 길이 10cm 정도의오이처럼 굽은 해마에는우리가 보고 듣고 느낀 것들이 모두 저장된다.하지만 해마의 뇌 신경세포는 태어 나는 순간부터 조금씩 파괴되기시작해, 20세 이후엔 그 속도가 급격히 빨라진다.1시간에 약 3600개의 기억 세포들이 사라진다고 한다.하지만 이 속도를 늦출 방법은 있다. 1.뇌혈류증가, 걷기 미국 일리노이대 의대 연구팀이 평균적인 뇌 크기를 가진 사람210명에게 1회 1시간씩, 1주일에 3회 빨리 걷기를 시키고,3개월 뒤 기억을 담당하는 뇌세포의 활동 상태를 조사 했더니,자신의 연령대 보다 평균 세 살 어린 활동력을 보였다.연구팀은걷기 운동을 하..

건강정보 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