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로운 글

업장 소멸하는 법 / 법상스님

덕 산 2025. 5. 12. 08:30

 

 

 

 

 

업장 소멸하는 법 

 

나보다 잘난 사람 보면 질투심이 올라온다거나,

나보다 못난 사람 보면 '나 잘났다는' 우월감이 올라올 때

'이게 바로 업장이구나' 하고 얼른 지켜볼 수 있어야 합니다.

 

열등감이든 우월감이든 잘 지켜보고 그래도 안 되면

그 마음에 대고 염불하고 그래도 안 되면

딱 버티고 앉아 마음 다해 독경을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그 마음 지켜보고 잘 닦아내는 일이

업장을 소멸하는 일입니다.

업장 소멸 업장 소멸 말로만 백날 해야

내 안에서 경계 따라 문득 문득 올라오는

이 생생한 생활 속의 업장을 닦아내지 않으면

절에 백날 다녀도 별 소득이 없어요.

 

매일 매일 마음 닦고 정진하다 보면

자신 스스로는 느끼지 못할지라도

내 안에서는 업장이란 놈이

얼마나 닦아지고 있는 건지 모른단 말입니다.

 

가만히 올라오는 마음 지켜보세요.

경계에 닫혀 마음이 얼마나 여여해지고 있는가

하고 말입니다.

 

생생하게 순간 순간 경계 따라 올라오는 마음을

잘 관하고 잘 닦아내어 휘둘리지 않을 수 있고

여여할 수 있어야 살아 있는

생활 속의 수행이라 할 수 있습니다.

 

친구 잘되는 꼴 못 보는 마음인가,

친구 잘될 때 진정으로 함께 기뻐해 주고

격려해 주는 마음인가,

또 사람들 만날 때,

혹은 나보다 못난 사람 만날 때

'나 잘난 마음',

'상대를 깔보는 마음'으로 대하고 있지는 않은가.

 

나 잘난 사람은 공부 절대 못합니다.

물론 나 못난 데 집착하는 사람도

공부 잘 한다고 할 수는 없어요.

그렇더라도 나 잘난 마음을 가지지 말고,

나 못난 줄 아는 마음으로 살아야 합니다.

 

설령 남 잘되는 꼴 보고 속이 좀 메스껍더라도

자꾸 기뻐해 주고 격려해 주는 마음 연습을 해야 하고,

못난 사람 만나더라도 절대 부처님으로

공경하는 마음을 연습해야 합니다.

 

그렇게 연습하다 보면

마음이 중심을 딱 잡게 됩니다.

마음이 잘나고 못난 경계를 허물게 돼요.

 

그래야 여여해지고, 내 안에 있는

잘나고 못난 업장이 소멸될 수 있는 겁니다.

일단 남들 보고 좋고 싫은 마음이 일어날 때는

무조건 하고 깜짝 놀라 지켜볼 수 있어야 됩니다.

 

그게 그런 마음 닦는,

업장 소멸하는 첫 번째 길이에요.

보지도 못하는데 닦는 일은 얼마나 먼 길이겠어요.

 

그러나 일단 알아차릴 수 있다면

반 이상은 벌써 끝났다고 볼 수도 있어요.

그러니 알아차리면서 '난 아직도 이것밖에 안 돼'하고

그걸 가지고 또다시 분별할 필요는 없습니다.

 

딱 알아차렸으면 그놈이 어디서 왔나(生)

어떻게 머물다가(住) 어떻게 변하고(異)

또 어떻게 소멸되는가(滅)를 물샐틈없이 지켜보세요.

 

지켜봄이 깊어지면 그냥 녹아 없어지고 소멸됩니다.

그런데도 안 된다 싶으면 그 마음을 관하시면서 염불하시고,

또 모자라고 석연치 않은 찌꺼기 마음이 남아 있다면

딱 버티고 앉아 마음을 다해 독경을 하면

그 어떤 업장이라도 분명 소멸시키고 녹일 수 있습니다.

 

그것이 생활 속의 정진이에요.

그럴 수 있는 사람이 생활 수행자인 것입니다.

 

경계를 두려워하지 마세요.

경계 앞에서 당당해지고, 떳떳하게 마주하여

정진으로 닦아내시기 바랍니다.

 

- 법상스님의 목탁소리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