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은 Agastache rugosa 이며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이명으로 방앳잎, 방아잎, 중개풀, 방애잎이라고도 부른다.
꽃은 자주새기며 개화기는 7 ~ 9월이다.
약용, 관상용 , 식용으로 사용한다.
잎은 대생하고 길이가 5~10cm,
나비 3~7cm로 난상 심장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에 약간의 털과 더불어 흰빛이 도는 것도 있으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1~4cm이다.
줄기는 높이 40~100cm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네모가 진다.
꽃은 순형으로서 7~9월에 피며 자주색이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의 윤산화서에 달리며
화서는 길이 5~15cm, 나비 2cm이다.
꽃받침은 길이 5~6mm로서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좁은 삼각형이며 꽃잎은 길이 8~10mm로서
밑 부분의 것이 길고 옆의 것에 톱니가 있으며
이강웅예가 길게 밖으로 나온다.
열매는 분과는 길이 1.8mm로서
도란상 타원형이며 편평한 삼능형이다.
햇볕이 잘 들고 다소 습한 보수력이 있는 비옥한 땅이 좋다.
그늘진 곳에서는 향기가 옅어진다.
강한 향기를 풍기는 방향성 식물이다.
배초향은 음식에 넣을 수 있는 천연 허브이기도 하다.
뿌리로 겨울을 나는 다년생 식물이다.
방아풀은 개량 된 적이 없는 야생이라 생명력이
강하여 노지에서도 월동을 잘 한다.
야산의 거친 잡초들과도 어울려 잘 산다.
열매는 분열과로서 납작하고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거나 잎을 증류해 향을 내는데 쓴다.
한약으로 토곽향이라고도 한다.
배초에다가 향이란 말을 붙인 것처럼 향기가 아주 진하다.
배초향의 효능
약성으로는 비위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허약한 비위를 건실하게 해준다.
위장병으로 구토가 날 때 구토를 멈추게 해준다.
비위에 쓰이는 약이니 당연히 소화불량에 좋고
배탈이 나서 설사가 심할 때도 아주 좋아서
집에 상비약으로 항상 보관해둘만하다.
배초향 향기를 마시면 정신이 맑아지고 상쾌해져서
우울한 기분에서 쉽게 벗어날 수 있다.
악취와 습기까지 없애주니 생활 필수 약으로 좋다.
차를 만들어서 마시고 싶으면 말린
배초향을 6~12g 정도를 물 600g에 넣고
한 두어 시간 우려내서 마시면 된다.
성숙한 것 포기 전체를 말린 것을 배초향이라 하며
소화·건위·진통·구토·복통·감기 등에
약으로 사용하며 항암 성분도 들어 있다.
경상남도와 전라남도 지역에서는 추어탕이나 매운탕,
장어탕 등에 필수적으로 넣는다.
육류를 먹을 때 쌈을 싸면 육류 특유의 누린내도 없어진다.
송편을 싸서 찌기도 한다.
만성 위염
방아풀 전체를 말려 적당한 양으로 물에 달인 즙을
차 대용 으로 오랫동안 장복한다.
건위약, 구풍약, 소화약, 해열약으로 더위를 먹거나
먹은 것이 체했을 때, 감기, 두통과 구토설사에 쓴다.
피질병, 종양 치료약으로도 쓴다.
특히 비장과 위장병에 쓰이는 중요한 약이다.
배초향 달임약(6-12g:200ml)을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간장과 된장 등 식료품에 좋은 향료로 되며 벌레가 생기지 않는다.
입 냄새를 없앨 때
깨끗이 씻은 배초향을 달인 물로 매일 양치질을 한다.
무더운 여름철 구토하고 설사를 할 때
볶은 활석 74그램, 배초향 10그램, 정향 1.85그램을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1회 4~8 그램을 쌀뜨물과 섞어서 먹는다.
칼에 베인 상처로 피가 날 때
배초향과 용골 적은 양을 가루로 만들어 바른다.
토사곽란
흰 부분을 제거한 진피와 잎과 흙을 제거한 배초향 즙.
이 두 가지 약물을 같은 양으로 하여 1회 18.5g에
물 1잔 반을 붓고 7할로 졸아들 때까지 달여서
수시로 따뜻하게 데워서 복용한다.
방아꽃의 꽃말은 “향수”입니다.
--- 출 처 : daum 카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