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정선유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 2018.09.03 07:00
배가 불러도 음식을 계속해서 먹는 사람이 있다. 과식은 비만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여러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과식을 예방하려면 생활습관을 바꾸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음식 오래 씹기
영국 버밍엄 대학 연구팀이 대학생 43명을 대상으로 음식을 씹는 시간이 식사 이후 식욕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했다.
연구팀은 참가자를 세 그룹으로 나눠 음식을 평소 먹던 대로, 한입에 10초씩, 한입에 30초씩 씹은 후 삼키게 했다.
식사 2시간 후 과자와 초콜릿을 먹게 해 식욕을 알아봤다. 그 결과, 음식을 가장 많이 씹고 삼킨 그룹은
나머지 두 그룹의 먹은 양의 절반만 먹었다. 이들은 과자와 초콜릿이 당기지 않는다는 평가를 했다.
◇뇌에 포만감 주는 신호를 보내기
뇌가 '배부르다'라고 느낄 수 있도록 신호를 보내야 한다. 이미 껍질이 벗겨진 것보다, 직접 껍질을 까서 먹는 게 좋다.
껍질을 까는 동안 시각적인 효과에 의해 자신이 먹은 양을 인지하고 뇌에 포만감을 전달하는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식욕은 시각적 요소 이외에 냄새와 기억으로도 잘 자극된다. 눈앞에 음식이 있으면 시각이나 후각, 기억을 자극해
먹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음식은 되도록 눈에 보이지 않게 하고, 눈에 보이는 곳에 둬야 한다면 열량이 낮고
포만감이 큰 채소로 바꾸는 게 좋다.
◇단순 당 피하기
단순 당이 많이 든 식품을 멀리해야 한다. 단순 당은 흰 빵, 설탕, 과자, 가공 음료, 과일 통조림 등에 많이 들어있다.
단순 당은 우리 몸의 혈당을 빠르게 올린다. 이때 혈당을 낮추기 위해 인슐린이 많이 분비되고,
다시 혈당이 급격히 낮아져 공복감이 몰려와 과식할 수 있다.
- 출 처 : 헬스조선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쩍 심해진 잠꼬대…‘치매’ 오고 있다는 신호 (0) | 2018.09.05 |
---|---|
비가 오면 몸과 마음이 아픈 이유, 氣象病 (0) | 2018.09.04 |
혈압이 왔다 갔다? 고혈압 종류 알아두고 '주의'해야 (0) | 2018.08.31 |
'몸의 기둥' 척추 수명을 늘리자! (0) | 2018.08.30 |
공복혈당 변화 크면 심근경색·뇌졸중 위험 커 (0) | 2018.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