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대꽃
초롱꽃과에 속하며 사삼, 딱주, 제니라고도 부른다.
학명은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Regel) H. Hara이다.
잔대의 한 종류로 잎과 뿌리는 도라지를 닮았고,
꽃은 초롱꽃을 닮았다. 다른 잔대들과의 차이점은
잎이 둥글고 꽃이 조금 크다
잔대 종류들은 뿌리를 먹거나 약재로 이용한다.
잔대에 ‘당’ 자가 붙었으니 중국 잔대라고
오해하기 쉽지만 그렇지는 않다.
우리말 중에 ‘당’이 앞에 붙는 것을 보면 ‘당차다’,
‘당조짐’과 같이 ‘야무지다’는 의미를 지니는데,
야무진 잔대라고 생각하면 어떨까.
우리나라 각처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경사지고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며 키는 50~100㎝이다.
줄기에는 흰색 털이 약간 있다.
잎은 가장자리에 거친 톱니가 있으며 둥근
신장형으로 길이는 3~7㎝, 폭은 1~3㎝이다.
8~9월에 보라색 꽃이 종 모양으로 줄기를 따라
위로 올라가며 달려 피며, 수술은 5개이고
꽃잎 밖으로 나온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10월경에 잎이 달린 채로 익는데,
안에는 먼지와 같이 미세한 종자들이 셀 수 없이 많이 들어 있다.
초롱꽃과에 속하며 털모싯대, 당모싯대,
둥근잎잔대, 살구잔대라고도 한다.
어린잎과 뿌리는 식용과 약용으로 쓰인다.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잔대꽃의 꽃말은 “은혜, 감상”입니다.
- 출 처 : daum 카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