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야생화사진

개복숭아(토종복숭아)

덕 산 2016. 4. 17. 12:20

 

 

 

 

 

 

 

 

 

 

 

 

 

 

 

 

 

 

 

 

 

 

 

개복숭아 효능

 

질병별 사용 방법과 약용법

개복숭아를 소주에 담가 3년 후에 하루 한잔씩 아침 식전에 먹는 방법이 있으나

장기간을 요하므로 꾸준한 인내를 요한다. 하지만 개복숭아를 흑설탕에 재워놓았다가

보름 후 그 물이 우러나면 더운물에 섞어 마시는 방법도 있다.

 

하루 한 컵 씩 약 1개월 복용하면 기침이 거뜬히 낫는다.

특히 해수나 백일해에 더욱 좋다.

더불어 복숭아씨를 껍질을 벗겨 가루를 내어 죽을 쑤어 먹는 것도 하나의 좋은 방법이다.

 

 

주근깨와 기미

그늘에서 말린 복숭아꽃에 동아 씨를 같은 양으로 섞어서 가루내어 체로 친다.

이 가루를 꿀로 걸쭉하게 갠 후 자기 전에 얼굴에 바른다.

끈끈하므로 그위에 분가루를 바르고 다음날 아침에 씻어 낸다.

복숭아꽃으로 마사지를 하면 살결이 고아지고 기미. 주근깨 등이 없어진다.

복숭아 꽃은 살결을 곱게 하는데 그만이다.

 

 

만성기관 지염

말린 돌복숭아씨 1kg을 볶아서 부드럽게 가루내어 꿀 2kg에

고루 개어 두었다가 한 번에 한 숙가락씩 하루 세 번 밥 먹기 전에 먹는다.

1주일 쯤 지나면 가래가 줄어들기 시작하여 기침, 가슴 답답증, 천식 등이

한 달쯤 지나서 없어지기 시작한다. 2-3개월 동안 꾸준히 먹으면 다른 약을

쓰지 않아도 전반적으로 병세가 없어지거나 가벼워진다.

야생 복숭아씨는 폐를 튼튼하게 하고 기침, 기관지염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다.

 

 

폐농양

폐농양은 허파 옆에 농양이 생겨서 피고름을 뱉는 병이다.

신선한 갈대 뿌리 30g. 참외씨 15g. 복숭아씨(껍질을 벗기고 뾰족한 끝은

떼어내지 않은 것) 9g. 율무 24g을 쓴다.

먼저 신선한 갈대 뿌리 30g에 물 1.5를 붓고 물이 반이 되게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그 물에 참외씨, 복숭아씨 율무를 넣고 다시

절반이 되게 달여 하루 세 번 나누어 식후에 먹는다.

 

 

류마티스 관절염

복숭아 잎을 7-8월에 따서 말린것 8g 귤껍질, 인동꽃, 백작약 각 4g .

감초2g을 가루 내어 하루 세 번 밥,먹기 30분 전에 먹는다.

2-3개월 이상 꾸준히 복용하면 틀림없이 좋은 효과를 본다.

재발한 환자나 다른 약을 써도 효과를 볼 수 었었던 환자들한테

좋 방법이다. 돌 복숭아나무 잎만을 가루 내어 한 번에 46g씩 하루

세 번 먹어 좋은 효과가 있다.

 

 

오심, 구토

복숭아 나무 잎을 한 줌 달여서 한 번에 먹는다. 복숭아나무는 구토를

멎게 하고 위장을 편안하게 한다.

 

 

개고기를 먹고 체했을 때

달걀 두 세개를 그릇에 깨트려서 넣고 식초 한 숟가락을 타서 잘 섞어 먹거나

오래된 수숫대 서너 마디를 잘게 썰어 넣고 물로 달여 하루 두 세번 먹는다.

또는 복숭아씨 열매를 짖찧어 물에 우려서 찌꺼기를 비리고 한 번에 먹는다.

 

 

만성간염

참나물을 깨끗하게 다듬어 물을 7-8배 붓고 두 시간 동안 끓여서 거른다

거르고 난 찌꺼이에 물을 붓고 한 시간 동안 끓여서 다시 거른다.

처음 거른 것과 나중에 거른 것을 합쳐 24시간 두었다가 졸여 물엿처럼 만든다.

돌복숭아씨를 절구에 짓찧어 돌복숭아씨 양의 여섯배 가량 물을 붓고 세 시간 동안 끓인다.

끓일 때 위에 뜨는 기름이나 찌꺼기들을 여러 번 걷어내야 한다.

참나물 농축액과 복숭아 씨 농축액을 합치고 참나물가루와 꿀을 알맞게 섞어 알약으로 만든다.

20일 동안 먹어 봐서 효과가 뚜렷하지 않으면 6-10g씩 양을 늘려서 먹는다.

참나눌 대신에 나물로 흔히 먹는 참취를 써도 효과는 같다.

 

 

비 염

복숭아 나무의 어린 가지에 달린 잎을 뜯어서 손으로 주물러 솜뭉치처럼

만든 다음 코안에 밀어 넣는다. 10-20분 지나면 콧물이 많이 나오는데

90% 이상이 낫거나 호전된다. 재발하면 같은 방법으로 이용하면 된다.

 

복숭아꽃의 꽃말은 “사랑의 노예”입니다.

 

- 출 처 : daum 카페 -

'풍경.야생화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팝꽃  (0) 2016.04.19
옥매화(백매화)  (0) 2016.04.18
냉이꽃  (0) 2016.04.16
자목련꽃  (0) 2016.04.15
홍도화(만첩홍도)  (0) 2016.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