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야생화사진

으름

덕 산 2024. 10. 7. 07:08

 

 

 

 

 

 

 

으름  

 

분 류  : 으름덩굴속 으름덩굴과

학 명  : Akebia quinata Decne

 

으름은 목통(木通)· 통초(通草)· 임하부인(林下婦人)이라 불리며,

열매를 연복자(燕覆 )라 한다.

 

다섯 개의 소엽 (小葉 )이 긴 잎자루에 달려서 장상 (掌狀 )으로 퍼진다.

봄에 연자색의 꽃이 피고 긴 타원형의 장과 (漿果 )가 가을에 익는다.

산지에 자생하며, 나무를 타고 올라간다.

열매는 달고 식용이지만 씨가 많이 들어 있다.

 

생김새와 맛이 바나나와 비슷하여  ‘코리언 바나나 ’로 부르기도 한다.

줄기와 뿌리는 약으로 쓰이는데, 특히 이뇨 ·진통의 효능이 있어

소변불리 ·수종 ·관절염 ·신경통에 치료제로 사용한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지역에 주로 분포한다.

소엽의 수가 여덟 개인 것을 여덟잎 으름이라 하고,

안면도, 속리산 및 장산곶에서 발견되고 있다.

 

 

1. 12 경맥을 통하게 한다.

으름은 기와 혈의 순환장애를 개선하며 번열을 멎게 하고,

구규(인체의 9개 구멍)를 잘 통하게 하며, 관격(급체로 음식이 잘

내려가지 않고 대변도 통하자 않는 병증)을 풀어준다.

 

2. 이뇨작용을 한다

배뇨곤란. 배뇨통. 빈뇨 등을 동반하는 급성 요도염을 비롯해서

각기나 신장염 등에 의한 부종을 다스리며 다섯가지

임병(5가지 소변 불리의 병증)을 다스려 소변을 잘 배출되개 한다.

 

3. 모유분비를 촉진한다.

모유가 부족하거나 유선염 등이 생겼을때 쓰인다.

 

4. 심장의 열과 소장의 열을 떨어뜨린다.

입안이 잘헐고(구내염) 인후부가 타는 듯 아프며,

숙면을 잘 취하지 못하는 심장의 화기를 다스린다.

 

5. 억균 및 항종양 작용을 한다.

실험을 통해서그람양성간균, 적리균, 피부진균 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종양 세포의 생장을 억제한다고 밝혀졌다.

 

6. 소변이 전혀 나오지 않으며 설사가 멎지 않을 때

목통  8-12g, 지각  8-12g 을 준비하여 물  500cc 를 붓고 달인 다음

물의 양이 반으로 줄면 하룻 동안 여러 차례로 나누어 차처럼 마신다 .

 

7. 대, 소변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아랫배가 팽만하여 마음이 불안할 때

활석 90g 목통 60g  대황 60g  토사자 30g 을 거칠게 가루내어

매회 6g을 300cc의 물로 끓여 반으로 줄면 하룻 동안 나누어 마신다.

단 양이 지나치지 않도록 한다.

 

8. 부종이 심할 때

목통 12g을 물 500cc를 붓고 끓여 반으로 줄면 하룻 동안 나누어 마신다.

혹은 인삼 4g, 백출 4g, 창출 2.8g, 진피 2.8g, 적복령 2.8g, 맥문동 2.8g

목통2.8g 당귀2.8g 황금2g 후박1.2g 승마1.2g을 1첩양으로하여

물 300cc를 붓고 달여 반으로 줄면 한번에 복용하는데 1일 2첩씩 한다.

이 처방은 부종의 대표적 처방 중 하나인데 '보중치습탕 '이라고 한다.

 

9. 황달로 몸과 얼굴이 금빛처럼 노랗게 되고 소변도 노란색일 때

목통12g, 인진쑥12g을 물 500cc를 붓고 달려 반으로 줄면

하룻 동안 여러 차례로 나누어 마신다. 혹은 시호4g  승마 4g

용담초4g, 인진4g, 황련4g, 치자4g, 황백4g 목통4g, 활석4g,

감초2g을 물 300cc를 붓고 달여 반으로 줄면 한 번에 마신다.

 

 

- 기타 주의사항

설사할 때 위장이 허하고 냉할 때 채표가 허해서 땀이 많을 때 소변이

너무 잦을 때 야뇨증이 있거나 정액이 저절로 흐를 때는 쓸 수 없다.

목통은 임신중인 태아를 유산시킬 수도 있으며 또 너무 많은 양을 복용할

경우에는 생리를 그치게 해서 임신을 할 수 없게 만들기도 한다.

1 회에 60g 이상을 복용할 경우에는 신기능 부전을 일으킬 수도 있다.

 

으름꽃의 꽃말은 “재능 ”입니다.

 

- 출 처  : daum -

반응형

'풍경.야생화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역취 (돼지나물 )  (0) 2024.10.10
버베나  (0) 2024.10.08
산수유  (1) 2024.10.06
산딸나무  (0) 2024.10.05
둥근잎 유동초  (0) 2024.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