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야생화사진

벚꽃

덕 산 2016. 4. 8. 15:11

 

 

 

 

 

 

 

 

 

 

 

 

 

 

 

 

 

 

 

 

 

 

 

 

벚 꽃

 

벚나무(문화어: 벗나무)는 장미목 장미과의 식물이다. 북반구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유럽에서 서시베리아에 걸쳐서 3, 일본에 200, 동아시아에 3, 중국에 33종의

벚나무 아속이 분포되어 있다고 보고 되고 있다. 히말라야 지역이 원산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높이는 20m 정도이며 나무껍질은 자갈색으로 옆으로 벗겨진다.

잎은 어긋나며 길이 6-12의 난형 또는 난상(卵狀) 피침형으로

끝이 길고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양면에 털이 없으나 어릴 때에는 표면에 약간의 털이 있기도 하다.

 

꽃은 4-5월에 분홍색 또는 백색으로 피며 지름은 3정도이고, 2-5개가 잎겨드랑이에 달려

산방 또는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꽃자루는 길이 3-3.5로서 가늘고 털이 없으며

밑부분에 포()가 있다. 꽃잎과 꽃받침 조각은 각각 5개이고 수술은 40개 내외이다.

수명은 60년 정도로, 짧은 편이다. 열매는 핵과(核果)로서 길이 6-8의 구형이며

6-7월에 적색에서 흑색으로 익는데, 이것을 버찌라고 한다.

 

벚나무는 불교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민간 약재이다.

벚나무 껍질에는 사쿠라닌이라는 물질이 들어 있는데

이 물질을 뽑아 내어 만든 것이 프로틴이라는 기침약이다.

 

해소·기침에는 벚나무 껍질을 진하게 달여서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벚나무 속껍질은 식중독, 생선 중독, 버섯 중독에도 효과가 있다.

특히 고등어, 가다랭이 같은 등푸른 생선에 중독되었을 때 벚나무 속껍질을 달여 먹으면

효과가 있다. 또 소화불량이나 설사에도 효과가 있다.

 

지름이 35센티미터쯤 되는 어린 가지의 녹색 속껍질을 칼로 벗겨

잘게 썰어 그늘에 잘 말려 두었다가 하루에 2025그램을 달여서 먹는다.

 

벚나무 껍질 달인 물을 차로 늘 마시면

기관지와 폐가 튼튼해지고 위장 기능도 좋아지며 피부도 고와진다.

 

벚나무 잎도 피부병에 효과가 있다.

벚나무 잎을 그늘에서 말린 것을 달여서

땀띠, 습진, 피부병 등에 바르면 잘 낫는다.

 

일본에는 사쿠라모찌라는 음식이 있다.

이것은 소금에 절인 벚나무 잎으로 싸서 찐 떡으로 독특한 향이 일품이다.

 

벚나무 잎에는 쿠마린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는데

이는 음식물이 잘 상하지 않게 하는 작용을 한다.

 

벚꽃의 꽃잎에도 약효가 있다.

 

싱싱한 벚꽃을 따서 꽃잎만을 모아 잘 씻은 다음

꿀을 넣어 버무려 벚꽃 청을 만들어 두었다가 차로 마신다.

 

벚꽃청 15그램에 끊는 물을 부어서 우려내어 마신다.

식중독·기침 치료에 효과가 좋다.

겹벚꽃의 꽃봉오리와 꽃을 따서 소금에 절여 두었다가 차로 마시는 풍속도 있다.

 

벚꽃차는 화사한 꽃 내음을 맡을 수가 있어 옛날에는 귀족들이 즐겨 마셨다고 한다.

벚나무는 우리나라가 원산지라고 할 만큼 흔하지만

우리 민족은 벚나무를 그다지 귀하게 여기지는 않았던 것 같다.

 

 

벚 꽃차 의 효능

 

벚꽃의 색과 향기, 모양을 그대로 담고 있으므로

축하모임에 접대용으로 매우 적합하며, 벚꽃은 여덟 겹꽃이 가장 좋다.

 

예로부터 숙취나 식중독의 해독제로 쓰여 왔다.

벚꽃 잎에는 비타민A B 복합체, 비타민E가 들어 있으며,

신염, 당뇨병, 무좀, 습진 기침에 효과적이다

 

 

- 재료 만드는 법

 

꼭지가 붙은 벚꽃 100g, 1000ml, 소금 약간

여덟 겹 벚꽃을 꼭지 채 따서 물에 살짝 씻은 다음 물기를 뺀다.

물에 소금을 약간 타서 소금물을 만든 후 (10의 소금물)

벚꽃을 담궈 숙성 시킨다.

병에 보관하고 매실초나 식초를 약간 넣으면 맛이 더욱 좋아진다.

냉장고에 보관해 둔다.

 

끓이는 법

 

벚꽃 12개를 찻잔에 넣는다.

끓인 물을 부어 1분 후에 마신다.

 

벚꽃의 꽃말은 순결, 절세미인, 정신의 아름다움등입니다.

 

--- 출 처 : 인터넷 발췌 ---

 

 

'풍경.야생화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두꽃  (0) 2016.04.11
자주광대나물  (0) 2016.04.09
개나리  (0) 2016.04.07
목련꽃  (0) 2016.04.06
광교산 야생화(현오색, 개별꽃, 세잎양지꽃)  (0) 2016.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