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야생화사진

범부채

덕 산 2017. 7. 20. 13:22

 

 

 

 

 

 

 

 

 

 

범부채

 

백합목의 붓과에 속하는 범부채의

학명은 Belamcanda chinensis 이며,

원산지는 한국이다.

 

잎은 어긋나고 줄기 밑 부분에서 2열로 배열하는데 좌우로 납작하며

넓은 칼 모양이고 넓게 부챗살 모양으로 퍼져 쥘부채와 비슷하다.

길이 30~50cm, 나비 2~4cm의 편평한 댓잎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서로 줄기를 얼싸안는다.

빛깔은 녹색 바탕에 약간 흰빛을 띤다.

 

 

꽃은 7~8월에 황적색 바탕에 어두운 적색 반점이 있는 육판화가

줄기 끝과 가지 끝에 달려 피는데 지름은 5~6cm이고 수평으로 퍼진다.

가지 끝이 1~2회 갈라진 다음 그 끝에 4~5개의 꽃턱잎이 달리고

그 중앙에 꽃이 우산 모양으로 달린다.

작은 꽃자루의 길이는 1~4cm이다.

꽃덮이 조각은 6개이고 타원형이다.

수술은 3개이고 씨방은 하위이다.

암술대는 곧게 서며 3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9~10월에 길이 3cm 정도의 삭과가 타원형으로 달리는데 익으면

3조각으로 갈라진다. 그 안에 둥글고 윤이 나는 검은 씨가 들어 있다.

 

 

 

범부채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논에서 생긴 피부염

범부채 900그램에 물 156리터를 가하여 1시간 끓인 후, 여과하여 식염 160그램을 가하여

이것으로 환부를 씻는다. 사용전 약액의 온도는 30~40로 유지해 둔다. 253례의 관찰에서는

모두 현저한 효과가 있었으며 경증인 경우는 한 번 씻은 것만으로 가려움증이 없어지고

중증인 경우에는 이튿날에 다시 한번 씻었더니 구진(丘疹)이 서서히 작아지고 조홍(潮紅)이 없어졌다.

[임상보고, 중약대사전]

 

2, 후비(喉痺)

범부채를 잘 게 썰어, 1회에 20그램과 물을 1.5컵을 가하여 8할이 되게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벌꿀을 조금 가하여 개어서 복용한다. [성제총록 사간탕]

 

범부채는 신선한 것을 선택하여 적당량을 잘 갈아서 즙을 마시면 뱃속을 움직이게 하여

   종통을 바로 풀리게 한다. 또한 진한 식초와 함께 갈아서 즙을 내어 입에 머금고 있으면

   타액이 나와서 목이 잘 통하게 된다. [의방대성론]

 

3, 상한, 열병, 인후 폐한 불통

신선한 범부채 썬 것 600그램과 돼지비계 600그램을 함게 달여 찌꺼기를 버린다.

계란 반개 정도의 양을 취하여 얇게 늘인 솜으로 싸서 목에 넣어 조금씩 삼키면 잘 낫는다.

[천금방]

 

4, 인후종통

범부채의 꽃과 뿌리, 산두근을 음건하여 가루로 만들어서 목에 불어 너흔다. [수진방]

 

5, 축농증으로 꽉 막힌 코

범부채를 뿌리째 놓고 솜과 함께 찧어 자기 전에 양쪽 코에 깊숙이 넣고 잔다.

그러면 다음날 고름이 줄줄 흘러나온다.

며칠 계속하면 비강(鼻腔)내의 염증이 해소된다. [서울 종로 할배 비방]

 

6, 이하선염

신선한 범부채뿌리 12~20그램에 물을 적당히 가하여 달여서

1일에 2회씩 식후에 복용한다. [복건민간초약]

 

7, 유방의 악창과 초기 종기

범부채뿌리(백강잠과 같은 모양이 좋다)를 원추리뿌리와 함께

분말로 가루내어 벌꿀에 잘 개어서 복용한다. [영류영방]

 

8, 복부가 창만하여 움직이면 배의 물이 출렁이는 소리가 나고 피부가 검어지는 증상

범부채를 짓찧어서 짜낸 즙을 계란 크기 정도의 분량으로 복용하면 물이 내려가서 낫는다.

[보결부후방]

 

9, 나력 결핵, 열기에 의한 결취(結聚) 즉 결괴(結塊)

범부채, 연교(連翹: 개나리 열매), 꿀풀을 각각 같은 양으로 환제를 만들어서

1회에 8그램씩 식후에 끓인 물로 복용한다. [본초휘언]

 

10, 기침이 나고 기가 위로 치밀어 오를 때, 목에서 물닭 소리와 같은 소리가 나는 증상

범부채 13(다른 처방에서는 120그램), 마황 150그램, 생강 150그램, 세신, 자완(紫菀: 개미취),

관동화(款冬花: 머위꽃으로 대용) 각각 120그램, 오미자, 300그램, 대추 7, 씻은 큰 반하 8

(다른 처방에서는 0.5)를 쓴다. 12되로 먼저 마황을 삶아서 2회 비등시켜 거품을 걷어낸 다음

기타의 약을 넣고 달여서 3되로 만든다. 이것을 3회에 나누어 따뜻할 때 복용한다.

[금궤요락, 범부채마황탕]

 

 

 

범부채 재배법

 

1, 기후와 토양

햇볕과 건조한 것을 좋아하지만, 다소 그늘진 곳에서도 잘 자란다.

부식토, 사질 양토가 적당하다.

 

2, 번식

종자 번식 혹은 분주 번식한다. 봄에 파종한다. 두둑 너비 1미터,

포기 사이 0.3센티미터로 점파하고 얇게 복토한다.

분주할 경우, 봄과 가을 모두 가능하며 묵은 근경을 캐내어,

1~2개의 움이 있도록 해서, 작은 덩어리로 나누어 구멍을 파고 심는다.

복토는 두텁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3, 경작관리

파종 후 토양을 습윤하게 보존하고 적시에 제초하면서 흙을 부드럽게 해 준다.

뿌리가 썩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물을 너무 많이 주지 말아야 한다.

7월 상순에 꽃봉오리를 따 준다.

 

중국의 <남경민간약초>에서는

"근경, , 종자를 술에 담그어 복용하면 근골통을 치료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범부채의 꽃말은 정성어린 사랑입니다.

 

- 출 처 : daum 카페 -

'풍경.야생화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라지 효능  (0) 2017.07.24
트리토마  (0) 2017.07.21
연꽃  (0) 2017.07.19
부용꽃과 효능  (0) 2017.07.17
핫립세이지  (0) 2017.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