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숨만 쉬어도 ’폐암‘ 판단…정확도 75% 검사법 개발

덕 산 2017. 11. 1. 14:03

 

 

 

 

 

 


김진구 핼스조선 기자

입력 : 2017.09.25 09:58

 

폐암은 사망률이 매우 높다. 원인 중 하나로 진단이 어려운 점이 꼽힌다.

1기에 발견, 수술 받은 환자의 5년 생존율은 70%인데, 3기 이후 발견돼 수술 받으면 30% 이하로 떨어진다.

폐암의 경우 증상이 나타날 때쯤에는 이미 수술이 어려운 정도로 진행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말기에 이르기까지 증상이 거의 없는 환자도 적지 않다.

X선이나 CT로 검사할 수 있지만 방사선 노출, 비용 부담, 조영제 부작용 등의 위험이 있었다.

 

그런데 최근 숨만 쉬어도폐암인지 알 수 있도록 하는 검사법이 국내 연구팀에서 개발됐다.

분당서울대병원 흉부외과 연구팀(전상훈 교수, 장지은 박사)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이대식 박사

연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호기가스 폐암 진단 검사법을 개발했다고 25일 발표했다.

 

 

 

 

 

 

호기가스는 내쉬는 호흡을 의미한다. 폐 속의 암세포가 만들어내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센서가

분석해 알려주는 방식이다. 전 교수는 시토크롬 P450 혼합산화효소라는 단백질이 폐암 환자에게서

특정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분해를 가속한다는 점에 착안했다. 이를 검출하면 폐암을 진단할 수

있을 거라는 가정 하에,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개발한 전자 코(Electronic nose)’에게 날숨 속

이 단백질을 검출케 했다. 폐암 환자 37명과 정상인 48명의 날숨을 채취한 연구팀은 전자 코에

내장된 다양한 화학 센서로 이를 데이터화했다. 이를 분석한 결과, 폐암 환자의 날숨은 수술 전

75%의 정확도로 건강한 성인의 날숨과 구별됐다. , 폐암 수술을 받은 후에는

정상인과 유사한 데이터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 검사법을 임상에 즉시 적용하기에는 어렵지만, 정확도를 높이고 보다 여러 환자에게서

유용함을 입증하는 등 후속 연구로 빅데이터가 구축되면 편리하고 효과적인 폐암 검사법으로 발전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상훈 교수는 현재 폐암 진단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X선 검사나 CT 등은

방사선 노출과 비용 부담, 조영제 부작용 등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 시행하기에는 부담이라며

인체에 해가 없고 호흡을 분석하는 것만으로도 폐암의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는 검사법의 적용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성과가 있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저명한

국제 학술지인 센서 앤 액츄에이트(Sensors & Actuators; B. Chemical) 최근호에 게재됐다.

- 출 처 : 핼스조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