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야생화사진

능소화 효능

덕 산 2017. 7. 6. 10:11

 

 

 

 

 

 

 

 

 

 

 

 

 

 

 

 

 

 

 

 

 

 

 

능소화 효능

 

낙엽 활엽 덩굴나무인 능소화의 학명은

Campsis grandiflora이다.

이명으로 금등화(金藤花자위(紫葳대화능소·능소화나무라고도 한다.

 

잎은 마주나며 홀수 1회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7~9개인데

길이 3~6cm의 달걀꼴 또는 달걀 모양의 댓잎피침형이며

양 끝이 날카롭고 가장자리에 톱니와 더불어 털이 있다.

 

꽃은 8~9월에 주둥이가 넓은 깔때기 모양을 하고 지름

6~8cm의 크기로 피는데 속은 황홍색이지만 겉은 적황색인 꽃이

가지 끝에 5~15개씩 원추 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은 길이 3cm이고

댓잎피침형이며 털이 없다. 꽃부리는 깔때기와 비슷한 종 모양이다.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10월에 삭과가 달려 익는데 네모지고

가죽질이며 2개로 갈라진다.

 

약재로 능소화를 활용하는 경우 7-9월 맑은 날을 골라서

막 피기 시작한 꽃을 채취해서 햇볕에 말린다.

 

민간요법

* 강정(强精)과안정(安靜) : 생꽃 4개 또는 말린 꽃 6~7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2~3회씩 4~5일 복용한다.

* 대변불통(大便不通) : 3~4개를 1회분 기준으로 생식하거나

산제로 하여 2~3회 복용한다.

 

* 대하증(帶下症) : 말린 꽃 3~4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2~3회씩

4~5일 복용한다. 생꽃은 2~3개를 생식해도 좋다.

* 발열(發熱) : 말린 꽃 4~5 g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2~3회씩 3~5일 복용한다.

 

* 복통(腹痛) : 생꽃 3~4개 또는 말린 꽃 6~7개를 1회분 기준으로

12~3회씩 1~2, 생꽃은 생식하고 말린 꽃은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 부인붕루(婦人崩漏) : 생꽃 3~4개 또는 말린 꽃 6~7개를 1회분

기준으로 12~3회씩 2~3, 생꽃은 생식하고 말린꽃은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 산후 복통(産後復痛) : 생꽃 3~4개 또는 말린 꽃 6~7개를 1회분

기준으로 11~2회씩 1~2, 생꽃은 생식하고 말린꽃은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 소변 불통(小便不痛) : 생꽃 3~4개 또는 말린 꽃 6~7개를 1회분

기준으로 12~3회씩 2~3, 생꽃은 생식하고 말린꽃은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 수종(水腫) : 생꽃 3~4개 또는 말린 꽃 6~7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2~3회씩 3~4, 생꽃은 생식하고 말린꽃은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 양혈거풍(養血祛風) : 말린 꽃 4~6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2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 월경이상(月經異常) : 생꽃 3개 또는 말린 꽃 6개를 1회분 기준

12회씩 5~6일 복용한다. , 생꽃은 생식하고 말린꽃은

가루내어 복용한다.(무월경).

* 이뇨(利尿):생꽃 4~5g 또는 말린 꽃 6~8g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2~3회씩 4~5일복용한다.

 

* 이완출혈(弛緩出血) : 생꽃 3~4개 또는 말린 꽃 6~7개를 1회분

기준으로 12~3회씩 1~2, 생꽃은 생식하고 말린꽃은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 정혈(精血) : 생꽃 3~4개 또는 말린 꽃6~7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 주체(酒滯) : 생꽃 3~4개 또는 말린 꽃 6개를 1회분 기준으로

생꽃은 생식으로 3회 정도, 말린 꽃은 달여서 4~5회 복용한다.

* 주황병(酒荒炳) : 생꽃 3~4개 또는 말린 꽃 6~7개를 1회분 기준으로

12~3회씩 3~5, 생꽃은 생식하고 말린꽃은 달여서 복용한다.

 

* 진통(陣痛) : 생꽃 4개 또는 말린 꽃 6개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2~3, 생꽃은 생식하고 말린꽃은 달여서 복용한다.

* 창종(瘡腫) : 꽃 생즙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 타박상(打搏傷) : 생꽃 3~4개를 1회분 기준으로 3~4회 생식한다.

* 통경(通經) : 생꽃 2~3개 또는 말린 꽃 3~4g1회분 기준으로

2~3, 생꽃은 생식하고 말린 꽃은 달여서 복용한다.

 

* 통리수도(通利水道) : 생꽃 3~4개 또는 말린 꽃 3~5g1회분 기준으로

4~5, 생꽃은 생식하고 말린 꽃은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 혈폐(血閉) : 3~4개를 1회분 기준으로 5~6회 생식한다.

또는 말린 꽃 4~5g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5~6회 복용한다.

 

능소화 꽃말은 명예, 기쁨, 영예입니다.

 

- 출 처 : daum 카페 -

 

 

'풍경.야생화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 록  (0) 2017.07.11
백리향 (百里香)  (0) 2017.07.07
말채나무  (0) 2017.07.05
라벤더  (0) 2017.07.04
페퍼민트  (0) 2017.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