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랭이꽃
패랭이꽃(Dianthus sinensis)은 석죽과 패랭이꽃 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학 명 : Dianthus chinensis L. var. chinensis
분 류 : 현화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석죽목 > 석죽과
형 태 : 숙근성 여러해살이풀
특징적 분류 : 관엽식물
자생지 : 풀밭, 강가의 모래땅
분포지 : 한국, 중국, 러시아
원산지 : 한국
크기 : 30cm
개화시기 : 6~8월
패랭이꽃은 석죽과로 전 세계 300여종이 있고,
우리나라에는 8종이 보고되었는데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 패랭이꽃,
북부지방에서 자생하는 수염패랭이꽃, 바닷가에서 자라는 갯 패랭이꽃,
백두산에서 자라는 난쟁이패랭이꽃과 장백패랭이꽃, 꽃잎에 술이 달린 달콤한 향기를 가진
사철패랭이꽃과 구름패랭이꽃, 흰색의 아름다운 꽃을 피우는 흰 패랭이꽃이 있다.
줄기 끝부분에서 꽃대가 나와 그 끝에 붉은색의 꽃이 1개씩 달림.
꽃잎은 5장으로 끝이 얕게 갈라지고 가운데 무늬가 있음.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지고 밑에 끝이 뾰족한 포엽이 4개가 있음.
10개의 수술과 2개의 암술대가 있음.
줄기는 여러 대가 같이 나와 높이 30cm 정도로 곧게 자라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분백색을 띤다.
마주나게 달리는 잎은 잎자루가 없는 선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6~8월 줄기 끝부분에서 꽃대가 나와 그 끝에 붉은색의 꽃이 1개씩 달린다.
꽃잎은 5장으로 끝이 얕게 갈라지고 가운데 무늬가 있다.
패랭이꽃은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차며 독이 없다.
심, 신, 비, 소장, 방광경에 작용한다.
청열이수(淸熱利水), 파혈통락(破血通絡)하는 효능이 있다.
요폐, 임질, 수종, 무월경, 작은 종기, 목적장예(目赤障翳),
침음창독(浸淫瘡毒)을 치료한다.
하루 6~11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또는 알약,
가루약으로 만들어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갈아서 가루 내어 개어서 바른다.
항암작용(방광암, 직장암, 식도암, 위암, 신장 등),
이뇨작용, 혈압을 낮추는 작용, 장관(腸管)에 대한 흥분 작용, 심혈관에 대한 작용,
간디스토마 억제 작용, 습열로 인한 임증, 소변을 보지 못하는 데, 붓는 데,
부스럼, 종기, 고혈압, 요로결석, 변비, 혈뇨증, 신장염, 방광염, 요도염,
급성 신우신염, 달거리가 없는 데, 결막염을 다스리는데 패랭이꽃이 효능이 있다.
패랭이꽃의 꽃말은 “사랑”입니다.
- 글 출처 : daum 카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