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인께서 보내주신 사진입니다. ---
자귀나무 효능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낙엽소교목으로
학명은 Albizzia julibrissin 이다.
한국(황해도 이남), 일본, 이란, 남아시아 등에 분포한다.
나무 높이는 3∼5m까지 자란다.
합환목, 합혼수, 야합수, 유정수라고도 한다.
잎은 어긋나고 2회 깃꼴 겹잎이다.
작은 잎의 길이는 6∼15mm, 나비는 2.5∼4.0mm 정도로서
양면에 털이 없거나 뒷면의 맥 위에 털이 있다.
꽃은 연분홍색으로 6∼7월에 피고 작은 가지 끝에
15∼20개씩 산형(傘形)으로 달린다.
꽃받침과 화관은 얕게 5개로 갈라지고 녹색이 돈다.
수술은 25개 정도로서 길게 밖으로 나오고 윗부분이 홍색이다.
꽃이 홍색으로 보이는 것은 수술의 빛깔 때문이다.
열매는 9∼10월에 익으며 편평한 꼬투리이고 길이 15cm
내외로서 5∼6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밤중에 잎이 접혀지기 때문에 자귀나무라고 하며
소가 잘 먹는다고 소 쌀나무라고 부르는 곳도 있다.
자귀나무의 효능
한방에서는 나무껍질을 신경쇠약·불면증에 약용한다.
자귀나무의 껍질은 맛이 달고 성질은 평하다.
심경, 간경에 작용하며 울결된 것을 풀어주고 혈을 조화시키며
마음을 가라앉히고 부스럼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심신 불안, 해수, 기생충 구제, 근육 경련, 타박상, 우울증,
불면증, 폐옹, 옹종, 나력, 근골 절상을 치료한다.
하루 6~12그램을 물로 달여서 하루 3번 복용하거나 가루 내어 복용한다.
외용 시 분말로 가루 내어 개어서 붙인다.
자귀나무 꽃을 합환화, 오융이라고도 부른다. 6월에 처음 꽃이 피었을 때
채집한 꽃은 상품으로서 합환화(合歡花)라고 부르고
꽃이 피지 전에 채집한 꽃봉오리는 상품으로서 합환미(合歡米)라고 부른다.
가지와 잎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며 독이 없다.
심경, 비경에 작용한다.
울결된 것을 이완시키고 기의 순환을 조절하며 정신을 안정시키고
맥락을 잘 통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울결흉민, 불면증, 건망증, 풍화안질, 시력감퇴, 인후통,
옹종, 타박상의 동통을 치료한다.
하루 4~12그램을 물로 달이거나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자귀나무는 약성이 순하고 독성이 없으므로 오래 꾸준히 복용해야
제대로 효과를 볼 수 있다. 햇볕에 말려 가루 낸 것을 한 번에
밥숟갈로 하나씩 하루 세 번 밥 먹고 나서 먹는다.
껍질은 종기나 습진, 짓무른 데, 타박상 등
피부병이나 외과질병 치료에도 효력이 있다.
껍질을 부드럽게 가루 내어 참기름에 개어서
아픈 부위에 붙이면 신기하게 잘 낫는다.
상처가 곪아서 잘 낫지 않는 데에는 자귀나무 껍질 가루를 뿌린다.
꽃도 약으로 쓴다.
술에 담가서 먹을 수도 있고, 꽃잎을 말려 가루 내어 먹을 수도 있다.
자귀나무 꽃은 기관지염, 천식, 불면증, 임파선염,
폐렴 등의 치료에 효과가 훌륭하다.
말린꽃을 먹을 때에는 물 한 되에 꽃잎 한줌(20그램)을 넣고
물이 반쯤 되게 달여서 그 물을 마신다.
술로 담글 때에는 자귀나무 꽃잎 분량의 3∼4배쯤의 소주를 붓고
밀봉하여 어두운 곳에 3∼6개월 두었다가 조금씩 따라 마신다.
자귀나무는 산중 수도자들이 즐겨 먹는 약이기도 하다.
뼈가 부러지거나 다쳤을 때 자귀나무 잎을 태운 재에 들기름이나
참기름을 섞어 고약을 만들어 붙이면 통증도 없이 신통하게 잘 낫는다.
나무나 껍질, 뿌리를 태워서 술에 타서 먹으면 골절,
어혈, 타박상 등에 효과가 크다.
자귀나무 잎을 차로 달여 마시기도 하는데 늘 먹으면 부부 사이의
금실이 좋아져서 이혼을 하지 않는다는 얘기가 있다.
그런 까닭에 이 나무를 애정목(愛情木)이라 부르기도 한다.
자귀나무꽃의 꽃말은 “환희, 두근거림”입니다.
- 글 출처 : daum 카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