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혈관 절반 막혀도 특별한 증상 없어… 막히고 터지기 전 ‘이것’해야
오상훈 기자 입력 2024.10.25 10:00
혈압·혈당 관리하고, 정기 검진 받아야
뇌졸중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가 영구히 손상되는 질환이다. 생명을 위협하는 건 물론 치료가 되더라도 의식 소실, 반신마비, 언어장애 등의 후유증이 나타날 수 있어 환자 본인과 가족에게 큰 고통을 줄 수 있다. 적극적인 예방과 관리가 중요한 이유다. 매년 10월 29일은 세계뇌졸중기구가 지정한 세계뇌졸중의 날이다. 세계뇌졸중의 날을 맞아 뇌졸중의 예방법, 증상 등에 대해 알아봤다.
◇뇌졸중의 70%는 혈관 막혀서 발생
통계청의 ‘2023년 사망원인 통계’를 살펴보면, 뇌졸중을 포함한 뇌혈관질환은 국내 사망원인 4위이다. 인구 고령화에 따른 발생 환자도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실제 2020년, 뇌혈관질환 환자 수는 60만7862명이였는데 지난해 65만3409명으로 급증했다.
뇌졸중은 ‘혈관’에서 시작된다. 뇌졸중 발병 형태를 살펴보면 70% 이상이 뇌혈관이 막혀 발생하는 뇌경색이다. 대표적인 원인 질환에는 죽상동맥경화증이 있다. 죽상동맥경화증은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에 의해 혈관내벽이 손상되고, 콜레스테롤이 침착돼 혈관이 좁아져 발생한다. 좁아진 뇌혈관이 결국 막히거나, 혈전이 생성되고 떨어져나가 다른 혈관을 막아버리면서 뇌경색이 발생하게 된다.
경희대병원 신경과 우호걸 교수는 “뇌로 가는 혈액의 약 80%가 경동맥을 지난다”며 “경동맥 협착 및 폐색은 전체 뇌졸중 발병 원인의 15~20%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위험이 크지만, 특별한 증상이 없고 혈관의 절반이 막혀도 검사를 진행하지 않는 이상 환자 본인이 인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평소와 달리 손‧발의 힘이 빠지거나 어지러움이 느껴진다면 경동맥 초음파 검사를 받아보는 게 좋다. 혈관의 협착 정도, 증상 및 기저질환 유무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후 약물 치료 및 스텐트 시술 등을 병행해 뇌졸중 발병 위험성을 낮추는 노력이 필요하다.
◇뇌혈관 막히면 신경세포 분당 190만 개 사멸
뇌졸중은 증상 발현 후 얼마나 신속하게 치료했는지가 예후를 결정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증상이 완화와 호전을 반복하지 않고 ‘갑자기’ 한순간에 나타나기 때문에 당황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신속하게 응급실이나 외래를 방문해 진단을 받아봐야 하는 증상에는 팔다리‧안면 마비, 감각이상, 실어증, 두통과 구토, 복시 등이 있다.
우호걸 교수는 “뇌졸중 진단은 신경학적 진찰과 CT, MRI 등 영상의학적 검사를 토대로 하며, 뇌혈류 및 경동맥 초음파, 뇌혈관 조영술 등을 통해 발생 원인을 정확히 확인한 후, 신속히 적절한 치료를 해야 한다”며 “혈관이 막혔다면 정맥에 혈전 용해제를 투여해 녹여내는 ‘정맥 내 혈전 용해술’이나 시술도구로 직접 혈전을 제거하는 ‘동맥 내 혈관 재개통 시술’을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건은 시간이다. 앞서 말한 치료법은 최소 4.5시간 이내에 진행돼야 한다. 다만, 진찰과 진단,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한다면, 더 빠르게 도착해야 한다. 발병 후, 1시간 30분 이내에 혈전 용해제를 투여했다면, 치료 받지 않은 환자 대비 장애가 발생하지 않을 확률이 3배가량 높았다. 하지만 3시간이 넘어가면 그 가능성은 절반 이하로 낮아진다. 통상 뇌졸중 발생 시 분당 190만 개, 시간당 1억 2000만 개의 신경세포가 없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뇌출혈도 마찬가지다. 우 교수는 “뇌출혈도 빠른 혈압과 뇌압 조절 등이 필요하며 출혈량이 많으면 즉각적인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며 “가급적 급성기 뇌졸중 치료가 가능하고 뇌졸중 집중치료실이 운영되는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지체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말했다.
◇원인 명확한 뇌졸중… 혈관질환 관리하고 술·담배 끊어야
평소에 뇌졸중 위험 요인들을 관리하는 것도 필요하다. 뇌졸중은 타 질환과 비교했을 때 발병 원인이 잘 알려져 있는 편이다. 뇌혈관 내의 혈액순환을 방해하거나 뇌혈관을 손상시킬 있는 요인을 최소화하고 관리하는 것이 예방의 지름길이다. 대표적으로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심장질환, 흡연, 과도한 음주 등이 있다.
우호걸 교수는 “대부분의 위험 요인은 환자의 생활 방식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며 “뇌졸중은 갑자기 찾아오기 때문에 지금부터라도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관련 질환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금연과 금주, 식습관 교정, 규칙적인 운동 등을 실천해야 한다”고 말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10/24/2024102402424.html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늘 ‘이렇게’ 먹었더니… 혈액 굳지 않고, 성호르몬 분비 촉진 효과도 (1) | 2024.11.01 |
---|---|
‘이 나이’ 때 잠 잘 못 자면, 뇌 3년 더 늙는다 (1) | 2024.10.31 |
"고혈당 쇼크로 사망, 혈당 500까지 치솟아"… 김수미 아들이 밝혔다, 스트레스가 원인? (1) | 2024.10.29 |
혈압 스멀스멀 오르는데… 자는 동안 방치한 '이것'이 문제였다 (1) | 2024.10.28 |
실명으로 이어지는 병인데… '고위험군', 검사조차 안 한다 (4) | 2024.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