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임다은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 2017.11.16 10:31
소변을 볼 때 요도가 따끔거리고, 소변을 봐도 개운하지 않다면 '요도염'을 의심해야 한다.
요도염은 요도가 세균·바이러스 등에 감염돼 염증이 생긴 질환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취약하다.
실제 여성 2~3명 중 한 명은 살면서 요도염을 포함한 요로감염(소변을 배설하는 요로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에 한 번 이상 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요도염을 일으키는 세균으로는 임균·클라미디아·마이코플라즈마·아데노바이러스·헤르페스 바이러스·
대장균 등이 있다. 임균을 제외한 세균은 성관계를 통해 감염되는 경우가 많고 이외에는 비위생적인
변기·수건 등에 접촉했을 때 옮을 수 있다. 여성은 요도의 길이가 4cm 정도로 남성보다 약 3배 이상 짧고
요도가 항문과 가깝게 붙어있어 세균 감염에 취약하다. 요도염에 걸리면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은
빈뇨·잔뇨감·배뇨 시 통증·발열 등이다. 소변을 볼 때 방광과 요도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통증이 심해지고,
고름·냄새가 나기도 한다. 심한 경우 피가 섞인 혈뇨를 보기도 하는데, 방치하면 염증이 골반으로 퍼져
골반염에 걸릴 위험도 있다. 세균의 종류에 따라 전염성이 강하기도 해 성관계를 한 파트너도 함께 치료받아야 한다.
병원에서는 항생제 등 약물을 처방해 요도염을 치료한다. 그러나 요도염은 면역력이 떨어진 틈을 타 쉽게
재발할 수 있어 평소 생활습관을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 수건·속옷을 늘 깨끗하게 세탁해 사용하고,
평소 소변을 무리하게 참지 않아야 한다. 배변 후에는 반드시 요도에서 항문 방향으로 닦아야 한다.
반대로 닦으면 대변의 대장균 등 세균이 요도 입구로 옮을 수 있기 때문이다. 성관계 후에는 소변을 보는 게 좋은데,
요도 주변에 있던 세균들이 몸 밖으로 배춛돼 요도염을 예방할 수 있다.
하루 8잔 정도의 물을 충분히 마시고, 나일론 재질보다는 면 소재의 속옷을 입는 게 좋다.
- 출 처 : 핼스조선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한파에 맞서는 '고혈압' 환자의 혈압 관리법 (0) | 2017.11.21 |
---|---|
고태홍 박사의 건강비결 (0) | 2017.11.20 |
소변 색으로 알아보는 건강, 유독 노랗다면? (0) | 2017.11.15 |
변비 때문에 고생? '3가지' 시도해보세요 (0) | 2017.11.13 |
간식이 노인의 영양 균형 맞춰줘... 추천 간식은? (0) | 2017.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