벚나무
분 류 : 장미과
학 명 : Prunus serrulata Lindley var. spontanea (Maxim.) Wilson
키가 큰 나무로 20m 높이까지 자란다 .
껍질은 검은 갈색이고 옆으로 벗겨지는 특성이 있다 .
잎은 나뭇가지에 어긋나기로 달리고 끝이 뾰쪽한 달걀모양으로
길이 6~12cm 정도 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
잎자루의 길이는 2~3cm 정도이고 2~3 개의 꿀샘이 있다
꽃은 4~5월에 연한 붉은색 또는 흰색으로 피며
우산모양의 꽃차례로 2~5개씩 달린다.
큰 꽃자루(花軸)에는 작은 잎(苞)이 있고,
작은 꽃자루와 꽃받침통에는 털이 없다.
열매는 둥근 모양으로 살이 발달하고 씨가 단단한
껍질로 싸여있는 핵과로 6~7월에 적색에서 검은색으로 익는다.
잎의 모양이 피침형인 것을 ‘가는잎벚나무 ’,
잎자루와 꽃자루에 잔털이 있으며 꽃자루의 길이가 2~3cm 인 것을
‘사옥 (제주산벚나무 )’, 꽃자루와 잎 뒷면 및 잎자루에 털이 있는 것을
‘잔털벚나무 ’, 잎자루 및 잎 뒷면 가운데 잎맥에 가는 털이 빽빽이 나고
꽃줄기에 털이 많은 것을 ‘털벚나무 ’로 구별한다 .
공원수나 가로수로 식재하고 목재는 건축재, 기구재, 악기재로 쓰인다.
한방에서는 나무줄기와 껍질을 말려서 기침이나
두드러기를 치료하는 약재로 사용한다.
번식방법은 여름에 채취한 종자(씨)를 마른 모래에 섞어서
저장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밭에다 파종한다.
벚나무는 불교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민간 약재이다.
벚나무 껍질에는 사쿠라닌이라는 물질이 들어 있는데
이 물질을 뽑아 내어 만든 것이 ‘프로틴 ’이라는 기침약이다.
해소 ·기침에는 벚나무 껍질을 진하게 달여서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벚나무 속껍질은 식중독 , 생선 중독 , 버섯 중독에도 효과가 있다.
특히 고등어 , 가다랭이 같은 등푸른 생선에 중독되었을 때
벚나무속껍질을 달여 먹으면 효과가 있다 .
또 소화불량이나 설사에도 효과가 있다.
지름이 3 ∼5 센티미터쯤 되는 어린 가지의 녹색 속껍질을
칼로 벗겨잘게 썰어 그늘에 잘 말려 두었다가 하루에 20 ∼25 그램을 달여서 먹는다.
벚나무 껍질 달인 물을 차로 늘 마시면 기관지와 폐가 튼튼해지고
위장 기능도 좋아지며 피부도 고와진다.
벚나무 잎도 피부병에 효과가 있다.
벚나무 잎을 그늘에서 말린 것을 달여서땀띠 , 습진 , 피부병 등에 바르면 잘 낫는다.
일본에는 ‘사쿠라모찌 ’라는 음식이 있다.
이것은 소금에 절인 벚나무 잎으로 싸서 찐 떡으로 독특한 향이 일품이다.
벚나무 잎에는 ‘쿠마린 ’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는데
이는 음식물이 잘 상하지 않게 하는 작용을 한다 .
벚꽃의 꽃잎에도 약효가 있다.
싱싱한 벚꽃을 따서 꽃잎만을 모아 잘 씻은 다음 꿀을 넣어 버무려
벚꽃 청을 만들어 두었다가 차로 마신다.
벚꽃청 15 그램에 끊는 물을 부어서 우려내어 마신다.
식중독 ·기침 치료에 효과가 좋다.
겹벚꽃의 꽃봉오리와 꽃을 따서 소금에 절여 두었다가 차로 마시는 풍속도 있다.
벚꽃차는 화사한 꽃 내음을 맡을 수가 있어 옛날에는 귀족들이 즐겨 마셨다고 한다.
벚나무는 우리나라가 원산지라고 할 만큼 흔하지만
우리 민족은 벚나무를 그다지 귀하게 여기지는 않았던 것 같다.
- 벚 꽃차 의 효능 -
벚꽃의 색과 향기, 모양을 그대로 담고 있으므로 축하모임에 접대용으로 매우 적합하며,
벚꽃은 여덟 겹꽃이 가장 좋다. 예로부터 숙취나 식중독의 해독제로 쓰여 왔다.
벚꽃 잎에는 비타민 A B 복합체 , 비타민 E 가 들어 있으며,
신염, 당뇨병, 무좀, 습진 기침에 효과적이다.
1. 재료 만드는 법
꼭지가 붙은 벚꽃 100g, 물 1000ml, 소금 약간
① 여덟 겹 벚꽃을 꼭지 채 따서 물에 살짝 씻은 다음 물기를 뺀다.
② 물에 소금을 약간 타서 소금물을 만든 (약 10 %의 소금물 )벚꽃을 담궈 숙성 시킨다.
③ 병에 보관하고 매실초나 식초를 약간 넣으면 맛이 더욱 좋아진다.
④ 냉장고에 보관해 둔다.
2. 끓이는 법 -
① 벚꽃 1 ∼2 개를 찻잔에 넣는다.
② 끓인 물을 부어 1분 후에 마신다.
벚꽃의 꽃말은 “순결, 절세미인, 정신의 아름다움” 등입니다.
- 출 처 : dau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