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로운 글

에너지 낭비가 없는 삶 / 법상스님

덕 산 2025. 10. 4. 11:27

 

 

 

 

 

에너지 낭비가 없는 삶 / 법상스님

 

사실 우리들 삶의 목적은 뭐예요?
우리들 삶은 무엇을 향해 쫒아가고 있습니까?
삶이 잘 풀리기만을 향해서 쫓아가고 있다.
항상 잘 풀려야 되고 항상 원하는대로 되었음 좋겠고
'항상 좋은 일만 있었으면 좋겠다'라는 마음으로 항상 치닫고 있단 말입니다.


그것은 극단이다, 사실은.
우리는 정말 잘 살기 위해 노력하쟎아요.
잘 살기 위해 노력하고 돈 많이 벌기 위해 노력하고

빨리 깨닫기 위해 노력하고
수많은 보다 행복한 삶을 위해서 애쓰고 노력하고 애쓰고 있지만
그것은 중도에 어긋나는 길이다.

중도에 어긋나는 길일 수 있다.


삶이 너무 쉽게 풀려도 좋지 않습니다.

또, 삶이 너무 꼬여도 좋지 않죠.
적당한 것이 좋습니다. 중도가 좋습니다.


그래서 힘든 삶 속에서, 힘든 곳에서 어떤 깨우침을 얻고
또 잘 풀릴 때는 잘 풀리는 것 속에서 깨우침을 얻을 수 있다.
우리는 양극단에서 동시에 공부거리를 얻게 되고
그 양극단을, 양쪽을 통해서 함께 공부를 해나가고

정신적으로 성숙해 나가는 것이거든요.

 

그러니까 그 양쪽 모두다 거부할 필요가 없다는 거죠.
너무 치우칠 필요도 없지만 그것을 거부할 필요도 없다.
그것을 쫓아갈 필요도 없지만 그것을 거부할 필요도 없다.
너무 좋아서 붙잡지 못해 안달할 필요도 없지만
너무 싫어서 밀쳐내지 못해 안달할 필요도 없다는 겁니다.


그 두가지가 다 중도에 어긋난다.
너무 잘하는 것도 어긋나고 너무 못하는 것도 어긋나는 겁니다.
근데 우리는 그 어긋나는 길을 향해서 지금까지 달려왔다.
즉 너무 잘하려고 너무 인생이 잘 풀리게 만들려고
내 인생이, 내 삶이 완벽한 건강과 완벽한 행복과
완벽한 만족을 향해서만 달려왔단 말이죠.


근데 너무 잘 풀리는 것도 에너지 낭비고

너무 안 풀리는 것도 사실은 에너지의 낭비입니다.
그래서

지금 이 순간 나에게 주어진 삶을 고스란히 받아들이는 것,
단점은 단점대로 장점은 장점대로 해석하지 않고 받아들이는 것,
그것이야말로 에너지 낭비 없이 중도적으로 사는 겁니다.

 

어떤 문제점이 있다. 상관없습니다. 이건 아주 좋은 일입니다.
그 상황은 중도적인 삶을 살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만난 겁니다.
남편이 이웃집 남편같이 만족스럽지 않고

무언가 좀 단점이 많다, 이거 아주 좋은 상황입니다.
'남편의 단점을 장점으로 바꿔야지만 내 삶이 행복해지겠지'가 아니고
지금 그 자체로서 행복한 상황이다.


뭔가 안 풀리는 문제가 있고 힘들고 고되고 괴로운 문제가 생겼다,

그건 아주 좋은 상황입니다.
그러니까 술술술 풀리는 삶만이 행복한 삶이 아니다.


어디서 많이 들어본 인생 아닙니까?

어디서 많이 본 삶 아닌가요?
어디서 봤어요, 여러분들의 삶이죠, 그죠?

지금 여러분들에게 주어진 삶입니다.
지금 우리에게 주어진 삶의 모습입니다, 사실은.


지금 나에게 주어진 삶이 사실은
가장 진리적으로 살 수 있는 삶이고 가장 중도적으로 살 수 있는 삶이고
진리를 실천하기에 가장 최적의 조건의 삶이 지금 나에게 펼쳐지고 있습니다.
 

문제는 뭐냐?

그 삶이 진리답게 펼쳐지고 있는데 문제는 뭐냐?
내가 그것을 진리라고 생각 안 하는 게 문제입니다.


그 중도적인 실천을 할 수 있도록 펼쳐지는 삶을
우리는 삶에서 그대로 흐름을 타고 가지 않고

극단을 선택함으로써 문제로 만든다.
사서 문제를 만드는 거죠.


그러니까 우리 삶에 조그만한 문제가 생겼다,

크고 작은 문제가 생겼다,
남편의 단점이 보이고 아내의 단점이 보이고
자식이 내 뜻대로 따라주고 공부 좀 했으면 좋겠는데 공부도 게을리 하고
뭔가 증득(證得)도 한 번에 됐으면 좋겠는데 한 번에 안 되고
뭔가 투자한 돈이 펑펑 풀렸으면 좋겠는데 그것도 안 되고
뭔가 원하는대로 안 된단 말이예요.


이것이야말로 중도적인 삶을 살기 위해서

이 우주법계가 나를 위해서 기획해 낸
나를 위해서 정교하게 짜낸 아주 기가 막힌 진리의 몫이란 말입니다.


이건 너무 아름다운 일이고 이게 바로 정확한 진리의 삶,
정확한 중도의 삶을 살기 위한 최적의 조건입니다.
이것을 거부하면 안된다.


그러니까 지금 여기서 우리 삶이 완전한 이런 최상의 조건으로

완성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우리는 완성되지 않았다고 생각하고 착각하고

아직 부족하다고 착각하고
내 인생이 완전하지 못하다고 착각하니까

거기서부터 모든 문제가 시작된단 말입니다.

 

 - 법상스님의 목탁소리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