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경(逆境)과 순경(順境)
역경(逆境;거스르는 환경)이라는 것은
자기 마음대로 되지 않는 것을 말하고,
순경(順境;편안한 환경)이라는 것은
마음대로 되는 것을 말함이니,
사람들은 역경에서 울고
순경에서 웃지만,
역경과 순경에
일정한 표준이 있는 것은 아니며
고정된 바가 아니다.
갑(甲)에게 역경인 것이
을(乙)에게 순경이 되는 수가 있으니,
같은 동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이지만
서쪽으로 가는 사람에게는 순경이 되고,
동쪽으로 가는 사람에게는 역경이 되며,
같은 봄비라 하더라도
농부에게는 순경이지만
여행자에게는 역경이 된다.
그러나 동쪽으로 가는 사람이
동쪽에서 바람이 불어온다고
서쪽으로 가거나,
여행하는 사람이 비가 온다고
농사를 지을 수는 없는 일이다.
그것은 나아가는 목적이
다르기 때문이다.
사람은 떠다니는 풀이 아니기 때문에
바람 부는 대로 물결 치는 대로
편한 길만을 좇아서 사는 것은 아니다.
사람은 각자의 인생관을 따라서
하루의 진로 혹은
백년의 목적이 있으니,
그 목적을 향하여 전진할 뿐이다.
사람은 마땅히 역경을 정복하여
순경으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사람은 고기가 아니지만
잠수함으로 바다 밑을 정복하고,
사람은 날개가 없으나
비행기로 하늘을 정복하니,
용감한 사람과
지혜로운 사람의 앞에는
역경이 없는 것이다.
만해 한용운 스님 어록의 글입니다.
역경과 순경이라는 것은
본래부터 정해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조건에 따라,
또 마음에 따라
그렇게 인연 따라 그때그때 정해지는 것일 뿐입니다.
역경이 올 때 괴로워하고,
순경이 올 때 즐거워하는 일이야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지만,
용감하고 지혜로운 수행자는
역경이 올 때 괴로워하기 보다는
지혜로써 맑은 순경으로 바꾸어 나갑니다.
역경이 있으니
얼마나 행복하고 고마운지 모릅니다.
순경만 있는 것처럼
그렇게 큰 역경도 없는 것이지요.
순역의 분별을 놓아버리고
역경은 역경대로
순경은 순경대로 받아들이고 섭수하면
더 이상 순역의 경계는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입니다.
용광로와 같은 자성불 본래 자리에
순역의 경계를 몽땅 집어넣고 나면
거친 쇠가 녹아들 듯
경계로 인한 일체의 번뇌가 녹아들게 될 것입니다.
순경과 역경을 나누어 놓고
순경만 취할 것이 아니라,
순역의 경계를 다 받아들여
자성불 본래 자리에 온전히 놓아버리고
어느 하나 취함 없이 자유롭게 나아가야 합니다.
자유인이 되어야지요.
순역에 걸려 되겠습니까.
순경 역경을 뛰어넘어
일체를 분별 없는 맑은 순경으로,
텅 빈 순경으로 바꾸어 가시기 바랍니다.
- 법상스님 -
'향기로운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잡념과 망상을 없애려면 / 법상스님 (0) | 2023.05.29 |
---|---|
나고 지고... 임진강의 일몰을 보며... / 법상스님 (0) | 2023.05.26 |
믿음... 믿음... (0) | 2023.05.24 |
파멸에 이르는 사람 / 법상스님 (0) | 2023.05.23 |
행위로 말하라. / 법상스님 (0) | 2023.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