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야생화사진 1828

말발도리

말발도리 분 류 : 범의귀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이다 .학 명 : Deutzia spp. 말발도리는 키가 작아 화단이나 화분에서 키우는데 좋은 식물이다 .말발도리는 꽃이 진뒤 달리는 열매가말발굽에 끼는 편자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군락을 이룬곳에서 꽃이 만개했을 때 보면 참 아름답다 .가지가 바람에 날리면 꽃들이 애교를 떠는 듯 사랑스럽다 .말발도리랑 형제뻘 되는 만첩빈도리 (꽃이 겹꽃으로 꽃잎이 다닥다닥 붙음 )는가지를 시원스럽게 아래로 늘어뜨려 꽃을 피운다 . 매화말발도리는 키가 작고 꽃 모양이 좋아 화단용으로 적합하다 .특히 암석정원에서 바위틈에 심어두면 아래로 늘어지면서 잘 어울린다 .키가 작아 화분용으로도 좋다 . 일본말발도리도 주변에 흔히 이용된다 . 비옥한 토질을 좋아한다 .수분이 ..

노란선씀바귀

노란선씀바귀 분 류 : 국화과 / 선씀바귀속 학 명 : Ixeris chinensis (Thunb.) Nakai 원산지 : 한국, 일본, 전국 각처의 산야 별 명 : 노란선씀바귀, 노랑선씀바기, 선씀바귀 꽃 개화 시기는 5~6월이며, 노란색의 꽃이 핀다.꽃은 줄기 끝에서 머리모양으로 달린다.꽃의 가장자리는 톱니모양이거나 깃꼴로 갈라진다.해가 지면 꽃을 오무린다.선씀바귀를 닮았는데, 노란 꽃이 핀다고 노랑선씀바귀다. 키는 20~50cm정도이며, 줄기는 곧게 선다..잎은 뿌리에서 타원모양으로 갈라진다..열매는 단단한 껍질에 싸여 있다.. - 선씀바귀속 (Ixeris)유사종 갯씀바귀(Ixeris repens (L.) A.Gray)근경이 옆으로 길게 자라면서 잎이 달리고, 잎은 호생하며 삼각상 또는 오각..

불두화

불두화 학명은 Viburnum sargentii(Viburnum opulus ''sterile'')이며 ,인동과의 낙엽지는 작은 키의 나무이다 . 둥근형태의 꽃 모양이 부처님 머리모양을 닮았다 하여 불두화라 하였다 .정원수로 쓰이며 열매를 맺지 않는 상징적 의미 때문인지 사찰에 많이 심겨져 있다 .꽃이 공처럼 아름다워 꽃꽂이용 소재로도 종종 이용된다 . 번식은 꺾꽂이나 접붙이기로 한다 .햇빛이 잘 드는 곳이나 반그늘에서도 잘 자라며 노지월동도 가능하다 . 불두화는 백당나무의 유성화를 없애버리고무성화의 꽃잎만 자라게 한 원예품종이다 .공 모양의 커다랗게 핀 꽃이 인상적이다 . 불두화의 꽃말은 “은혜 , 베품 ”입니다 . --- 출 처 : daum ---

공조팝나무

공조팝나무 공조팝나무는 낙엽관목으로 중국이 원산지이고비옥한 땅에서 잘 자라는 나무이며 ,꽃은 4~5 월에 지름 7~10cm 의 흰색 꽃20 개 정도가 산방산으로 가지 끝에서 핍니다 . 공조팝 나무의 특징은 동그란 꽃잎이 핀다는 것이며 ,꽃잎은 둥글고 작고 받침통은 삼각형 모양의 도원추형으로끝이 뾰족하고 털이 없고 꽃밥은 흰 것이 특징입니다 . 공조팝나무의 잎은 바소꼴 또는 넓은 타원형이고깊은 톱니가 있어 가지에 어긋나게 붙습니다 .높이는 1~2m 정도로 자라고 가지는 작고 가늘어 끝이 늘어집니다 . 공조팝나무의 번식은 포기나누기와 꺾꽂이로 합니다 .꽃은 동그란 뻥튀기를 모아 놓은 것 같고밥공기에 소복하게 쌓은 밥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 조팝나무 중에서도 공처럼 쪼개어 여기저기 늘어놓았다고 해서공조팝나..

이팝나무

이팝나무분 류 : 물푸레나무과학 명 : Chionanthus retusus 낙엽활엽교목으로 원산지는 한국이고 한국,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하며 산골짜기나 들판에서 서식한다.이팝나무는 키가 20~30미터나 자라고, 지름도 몇 아름이나 되는 큰 나무이면서 5월 중순에 파란 잎이보이지 않을 정도로 새하얀 꽃을 가지마다 소복소복 뒤집어쓰는 보기 드문 나무다. 가느다랗게 넷으로 갈라지는 꽃잎 하나하나는 마치 뜸이 잘든 밥알같이 생겼고,이들이 모여서 이루는 꽃 모양은 멀리서 보면 쌀밥을 수북이 담아 놓은 흰 사기 밥그릇을 연상케 한다. 꽃이 필 무렵은 아직 보리는 피지 않고 지난해의 양식은 거의 떨어져 버린 ‘보릿고개’이다.주린 배를 잡고 농사일을 하면서도 풍요로운 가을을 손꼽아 기다릴 때다.이팝나무 꽃은 헛것으로..

금낭화 (錦囊花 )

금낭화 (錦囊花 ) 분 류 : 피자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양귀비과학 명 : Dicentra spectabilis (L.) Lem.분포지 : 한국 금낭화는 우리나라 각처의 산지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며,생육환경은 깊은 산의 계곡 근처의 부엽질이풍부한 곳에서 자라는 식물이다. 키는 60~100㎝가량으로,잎은 잎자루가 길고 깃 모양으로 3갈래가 갈라지며,가장자리에는 결각을 한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은 연한 홍색이며 줄기를 따라 아래에서위쪽으로 올라가며 심장형으로 달려있고,완전히 개화하기 전에는 좌우에 있는 하얀색이 붙어 있지만완전히 개화되면 위쪽으로 말려 올라가는 특징이 있다. 꽃 가운데 하얀 주머니 모양을 한 것은암술과 수술이 들어 있는 곳이며,열매는 6~7월경에 긴 타원형으로 달리고안에는 검고 광채가 나는..

산철쭉꽃

산철쭉꽃 분 류 : 진달래과학 명 :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번 식 : 종자, 실생, 삽목, 분주 진달래속에 속하는 낙엽관목이며,주로 산과 들의 모래흙 지대에서 잘 자란다.진달래와 잘 혼동되지만 진달래는 잎보다 꽃이 먼저 핀다.흰 철쭉과 산철쭉으로 나뉘며, 관상용과 약제용으로 쓰인다.분홍색 철쭉을 산철쭉이라 부르는데 색상이 다양하다. 키는 2~5m이고 어린 가지에는 선모가 있으나자라면서 없어지며 회갈색으로 된다.잎은 어긋나지만 가지 끝에서는 모여난 듯 달린다. 잎은 길이가 5~10cm 정도인 넓은 난형으로끝은 둔하고 밑은 뾰족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연한 홍색의 꽃은 잎과 같이 5월 무렵 3~7 개씩가지 끝에 피고 꽃잎은 5개가 합쳐깔때기 모양을 이루는데 지..

매발톱

매발톱 학명이 Aquilegia buergeriana var. oxysepala 이며,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류이다. 매발톱 꽃만큼 화단 , 공원 , 길가에 많이 식재되는 종도 드물다.매발톱 꽃은 꽃이 크고 특이하면서도 참 아름답다.꽃 색과 모양이 다양하며 최근에는 원예종도 나와 있어매발톱 꽃만으로도 정원을 다양하게 꾸밀 수 있다. 매발톱 꽃은 번식력과 습해나 추위에도 강하지만 더위에는 약한 편이다.씨앗이 떨어져 싹이 잘 나오며 이듬해 꽃을 피운다.토양에 따라 키가 40∼80cm 정도 자란다. 세계적으로 약 70 여 종이 분포하는데 , 주로 지구 북반구의 숲이나산악지역에서 볕이 잘 드는 곳에 난다.우리나라에도 매발톱 꽃 색이 하늘색인 하늘 매발톱꽃,노란색인 노랑 매발톱꽃 (백두산 자생) 등 ..

붓 꽃

붓 꽃 분 류 : 붓꽃과학 명 : Iris nertschinskia LODD. 산과 들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잎과 꽃봉오리가 붓글씨 쓰는 붓을 닮았다.키가 30~60cm정도 자라고 땅속에 줄기가 있어서 옆으로 뻗어 나가며뻗은 뿌리에서 새싹이 나오며 수염뿌리가 많이 붙어있다.잎은 창 모양으로 위로 곧게 뻗으며 길이 30~50cm, 너비 0.5~1cm 정도 된다. 붓꽃이라는 이름은 꽃봉오리가 벌어지기 전의 모습이 붓에 유사하여 붙여진 것이다.꽃은 5월 중순부터 6월 하순에 줄기 끝에 달리며 보통 자주색이다.바깥쪽 꽃잎은 넓은 거꾸로 선 달걀모양이며 안쪽에 노란색 바탕에 자주색 줄무늬가 있다.밑 부분이 잎집[葉鞘] 같으며 붉은 빛이 도는 것도 있다. 암술대는 끝이 2갈래로 깊게 갈라진다.열매는 삼각형의 삭..

겹조팝나무꽃

겹조팝나무꽃 분 류 : 장미과학 명 : Spir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원산지 : 아시아 (대한민국 , 대만 , 중국 ) 조팝나무는 20 여종이 있으며 , 모든 수종이 광상가치가 있다 .꽃핀 모양이 튀긴 좁쌀을 붙여놓은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조팝나무라고 한다 . 키는 1~2m 정도이고 ,전국의 산기슭 양지바른 곳에서 자란다 . 흰색의 꽃이 4 월 초순에 촘촘한 우산살 모양으로 무리지어 핀다 .꽃이 진 뒤에 나오는 난형의 잎은 어긋나는데 끝은 뾰죽하고가장자리에는 잔 톱니가 있다 . 열매는 9 월에 익는데 익은 후 벌어진다 .방향성 ·밀원식물이며 추위에도 잘 견딘다 .꽃꽂이 소재로도 많이 사용되고 정원 ·도로변 ·공원 등에 관상용으로 심는다 . 번식은 꺾꽂이로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