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야생화사진

측백나무

덕 산 2025. 9. 18. 19:28

 

 

 

 

 

 

측백나무

 

분 류 : 구과목> 측백나무과> 눈측백속

학 명   : Thuja orientalis  L.

 

잎은 비늘모양이며 뾰족하고 중앙부의 것은 거꿀달걀모양,

옆의 것은 달걀모양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서 백색 점이 약간 있다 .

잎의 폭은   2~2.5mm로 뒷면에는 작은 줄이 있다.

 

암수한그루로 수꽃차례는 전년지 끝에   1개 달리며 길이   2~2.5mm로서

10  개의 비늘조각으로 구성되고 각   2~4개의 꽃밥이 있으며 화경이 짧다 .

암꽃차례는 구형이고 지름   2mm로서 연한 자갈색이며

8  개의 비늘조각으로 구성되고 각 꽃에   6개의 눈이 있다.

 

열매는 길이   15~20mm  로서 달걀모양이며   8  개의 씨앗바늘이 엇갈려 마주나기하고

첫째   1  쌍에는 종자가 없으며 둘째 것이 가장 크고 종자가 들어 있으며 구상  (鉤狀  )의 돌기가 있다.

종자는 한 씨앗바늘에   2~3  한 열매에   2~6(보통   6)개 들어 있고 타원형

또는 달걀모양이며 첨두로서 길이   5mm이고 흑갈색으로   9월에 성숙한다.

 

측백나무 높이는   25m, 지름   1m  에 달하는 상록교목이지만 흔히 관목상이다.

수관은 불규칙하게 퍼지고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세로로 갈라지고 큰 가지는 적갈색이며

일년생가지는 녹색이고 가늘며 납작하고 수직방향으로 발달한다.

가지는 비늘과 같은 비늘잎으로  4열생한다.

 

번식은 실생 및 삽목으로 번식한다.

노천매장은   60  일 정도 요하고삽목은 녹지삽  , 숙지삽  , 천삽  (天揷  )을 행한다.


1. 파종   : 10-11  월경 씨가 익는다파종은 씨가 덜 익은  9-10월에 열매를 따서

1  주일쯤 말린 후 씨를 털어 직파하든가 봄의  3-4월에 파종한다.

씨는 수명이 짧아서  1년밖에 못 간다.

파종상은 평상을 만들어 뿌린 후 짚을 덮어 관수하며 위에 차광( ) 설비를 하여 여름의 더위에서 보호한다.

약 두 주일이면 발아함로 그대로 두고 비배하였다가 다음해 봄에  10  간격으로 넓혀 준다 .


2. 삽목   : 여름에 건조하지 않고 배수가 좋은 밭흙이나 진흙에 삽목한다.

시기는   4-5월이 좋으며 삽수는 지난 해 자란 가지 중 잘 굳은 것을   10-15  길이로 잘라

물에 담그어 물을 올린 후   1/3  쯤 잎을 따고 꽂는다.

꽂은 후에는 충분히 관수하며 차광하여 건조하지 않게 관리하면 대개   2  개월정도면 내린다.

활착 후 그대로 비배하였다가 다음해 화분에 넓혀 심는다  . 삽목의 활착률은   80% 정도이다.

 

재배특성

 적지  : 양수이므로 해가 잘 드는 곳이 좋으며 비옥한 땅이면 그늘에서도 견딘다.

            토질은 다소 습한듯한 사질양토나 양토가 좋으나 적응력이 넓어서 점토질에도 잘 자란다.


 이식  :  3-4 월의 싹트기 전과 가을  10 월이 적기이며 노목을 이식할 때는 뿌리를 크게 떠서

           섬작 (공석 )으로 잘 싸맨 후 뿌리를 다치지 않게 하여 이식하나 이식 탈을 많이 내므로 위험하다.

           묘목이나 어린 나무는 심을 때 구덩이에 퇴비 ,우마분 ,깻묵 등 잘 썩힌 것을 넣고

           흙을 덮은 다음 심고 흙을 지표까지 덮은 후 가볍게 밟아서 바람에 쓰러지지 않도록 한다.

          지상부가 무겁고 천근성이므로 활착할 때가지 강풍의 피해를 조심한다.


 전정  : 묘목을 심어서 뿌리가 뻗을 때까지  1-2 년간은 생장이 느린 편이나 그후 급속히 생장하므로

           이때부터 전정을 시작한다 요령은 옥향나무의 경우처럼 실한 가지의 상순을 가위를 쓰지 말고

           손으로 집는다 큰 나무는 전정가위로 깎아준다.

 

용도

 맹아력이 강하며 생장속도가 빠를 뿐 아니라 잎이 치밀하여 나무의 모양이 좋으므로

  생울타리용 방품림용수로 많이 사용된다.
 잎과 열매로 기름을 짜서 먹기도 한 .
 어린  枝葉 (지엽 ) 側柏葉 (측백엽 ), 근피는  柏根白皮 (백근백피 ), 樹枝 (수지 ) 柏枝節 (백지절 ),

   種仁 (종인 ) 柏子仁 (백자인 ), 樹脂 (수지 ) 柏脂 (백지 )라고 하며 약용한다.


側柏葉 (측백엽 ) - 가을에 일년생가지를 다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 잎에는  精油 (정유 ) 0.6-1%가 함유되어 있으며이 속에 함유된 것은

             thujene, thujone, fenchone, pinene, caryophyllene 등이다.

             Flavonoid  ()에는  aromadendrin, quercetin, myricetin, hinokiflavone,

             amenthoflavone  등이 있다 신선한  側柏葉 (측백엽 ) 粗製 (조제 () flavonoid

            함량은  1.72%이다 이 밖  tannin, 樹脂 (수지 ), vitamin C  등을 함유한다.
약효  : 凉血 (양혈 ), 지혈 祛風濕 (거풍습 ), 腫毒 (종독 )의 효능이 있다.

           지혈 鼻出血 (비출혈 ), 혈뇨 血痢 (혈리 ), 腸風 (장풍 ), 崩漏 (붕루 ), 風濕痺痛 (풍습비통 ),

           세균성이질 고혈압 咳嗽 (해수 ), 丹靑 (단청 ), 이하선염 탕상을 치료한다.

           또 몸을 가볍게 하고 기를 돋우며 寒暑 (한서 )에 대한 내구력을 지니고 새살을 나게 하는 효능이 있다.


柏根白皮 (백근백피 ) - 약효  : 주로 상 ()에 진무른 것을 치료하며 모발을 자라게 한다.
柏枝節 (백지절 ) - 약효  : 釀造酒 (양조주 )로 삶으면  風痺歷節風 (풍비역절풍 -風牙 (풍아 )

                                원인이 되는  痺證 (비증 ), 류머티성 관절염을 포함함 )을 주로 치료한다.
柏子仁 (백자인 ) - 초겨울 종자가 성숙했을 때 채취해서 햇볕에 말린다.

                                 씨껍질을 깨뜨려 부수고 깨끗이 체로 쳐서 그늘에서 말린다.

                             약효  : 滋養强壯 (자양강장 ), 鎭靜 (진정 ), 安神 (안신 ), 腸潤 (장윤 ),

                                           通便 (통변 )의 효능이 있다 驚悸 (경계 ), 不眠症 (불면증 ), 遺精 (유정 ),

                                            寢汗 (침한 ), 변비를 치료한다 또 오장을 평안케 하며 기 ()를 돋우고

                                            濕痺 (습비 )를 제거하며  恍惚 (황홀 ), 虛損吸吸 (허손흡흡 ), 歷節 (역절 ),

                                            腰中 (요중 ) 重痛 (중통 )을 치료하고  을 돋우어 땀을 멎게 한다 .
柏脂 (백지 ) - 약효  : 疥癬 (개선 ), 癩病 (나병 ), 禿瘡圓形脫毛症 (독창원형탈모증 ),

                                     黃水瘡 (황수창 ), 丹毒 (단독 )을 치료한다.

 

출 처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풍경.야생화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 루  (0) 2025.09.19
대 추  (0) 2025.09.17
무화과  (0) 2025.09.16
꽃범의 꼬리  (0) 2025.09.15
은행  (0) 2025.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