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선화
분 류 : 봉선화과
학 명 : Impatiens balsamina L.
원산지 : 인도, ·말레이시아, 중국
전 세계에 널리 재배되는 원예식물이다.
봉선화라는 이름은 꽃의 형상이 봉(鳳)의 모양과 흡사하다는 데서 온 것이다.
봉선화는 줄기가 다육질(多肉質)이고 높이가 60㎝에 달하고
털이 없으며 곧추 자라고 밑부분의 마디가 특히 두드러진다.
잎은 어긋나며 자루가 있고 피침형으로 양끝이 점차 좁아진다.
꽃은 7∼8월에 홍색·백색·자색 등 여러가지로 피며 2·3개씩
잎짬[葉腋]에 달리고 화축(花軸: 꽃대)이 있어 밑으로 처지며
좌우로 넓은 꽃잎이 퍼지고 뒤에서 통모양으로 된 거(距)가 밑으로 굽는다.
열매의 속이 여러 간으로 나뉘고 그 안에 많은 씨가 들어 있음)로
타원형이며 익으면 탄력 있게 터지면서 황갈색 종자가
튀어나오는 자동산포(自動散布)를 한다.
봉선화가 우리나라에 언제 어떻게 도래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우리 나라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다정한 꽃이며,
일제시대에는 우리 조상들이 망국의 한을 노래하던 꽃이기도 하다.
여름철에 봉선화가 피면 소녀들은 봉선화 꽃잎에 괭이밥의 잎을 섞고
백반 또는 소금을 약간 넣어 빻아서 손톱에 얹고 헝겊으로 싸매어
손톱을 곱게 물들였다.
봉선화 꽃말은 “나를 건드리지 마세요.”입니다.
- 출 처 dau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