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송과 와송의 종류와 효능
학 명 : Orostachys japonica(Maxim.) A.Berger
원산지 : 일본 오사카
이 명 : 만홍와송
Orostachys는 희랍어로 Oros(산)과 stachys(이삭)의 합성어입니다.
Orostachys 꽃말은 ‘항상 근면한“(바위솔)
japonica 일본형, (Maxim.) 막심
Alwin Berger (1871 – 20 April 1931)독일식물학자이며,
다육식물 과 선인장류 분류 및 명칭분류에 기여한 공이 컷다
드레스덴 과 프랑크푸르트. 1897년부터 1914 년까지의 식물원 큐레이터였다.
식물학명에 표준 저자의 약어 (A.Berger )이라 표기했다.
- 와송의 종류와 효능 -
본초도감에는 와송은 4종류로 나누어진다고 되어 있다.
낭조와송, 유소와송, 둔엽와송, 황화와송이다.
우리나라에는 바위솔, 둥근바위솔, 좀바위솔, 흰좀바위솔로 나누어져 있어요.
바위틈에서 자란다고 해서 바위솔이라는 이름이 공통적으로 붙는다.
1. 낭조와송
산 정상부 또는 산비탈의 암석이나 돌에서 자라요.
여름과 가을에 널리 채취하면 뿌리와 흙 등 이물질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 것이며 지혈 작용과 통경작용이 있고
설사를 그치게 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2. 유소와송
높이가 10~40cm이며 수술은 10개, 암술은 분리되어 5개의
심피를 구성하고 열매는 골돌이고 단원형이랍니다.
담장과 돌 위에서 자라며 봄, 가을에 채취해서 말린 것으로
청열해독, 지혈, 간엽, 악성 종기 등에 효과가 있다.
3. 둔엽와송
산비탈의 숲 속이나 돌이 많은 산비탈에서 자라며
여름, 가을에 채취해서
흙과 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리며 혈변,
출혈성치질, 기능성 자궁출형 등에 효과가 있다.
4. 황화와송.
일년된 황화와송은 연꽃모양의 잎처럼 빽빽히 자라며,
황화와송은 여름, 가을에 채취하여 볕에 말리며
지혈, 코피, 혈병, 습진 등에 효과가 있다.
--- 발 췌 : “바위솔 사랑” 카페 및 dau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