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의 계절 가을, 환절기 급격한 기온 변화로 적응하지 못하는
몸과 마음을 다스리는 따뜻한 가을차(茶) 한잔 어떠세요?
1. 모과차
누렇게 잘 익은 모과는 9월~10월이 제철이라 가을에 먹기 좋다.
그 맛은 달고 시며 독특한 향으로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과일이다.
모과는 향기롭기는 하나 씹는 감촉이 좋지 않아 말리거나 얇게 저민 모과를
꿀이나 설탕에 재운 뒤 먹는 모과차를 추천한다.
모과는 따뜻한 성질을 갖고 있어 뭉친 기운을 잘 흩어지게 하여 근육이나 인대가
뭉치거나 근육 경련이 발생 했을 때 모과차를 복용하면 근육이 풀리고 경련에 도움을 준다.
또한 모과에는 사포닌, 사과산, 구연산, 비타민C, 폴라포노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어
피로회복 및 목의 염증을 가라앉히는데 좋아 목이 칼칼한 가을에 적당하며,
기관지와 폐, 호흡기 질환에 좋으므로 감기에도 도움을 준다. 피부가 예민해서 생기는
알레르기성 두드러기나 피부염 등으로 인한 소양증을 진정시키는데 효과가 있으며,
위생이 안 좋은 음식을 잘 못 먹거나 감염 등으로 구토, 설사하는 경우에도 도움이 된다.
단, 모과는 설사 환자에게는 좋지만 변비 환자나 신장질환 환자는 삼가하고
평소 근육이 약해서 무력할 때도 자제 하는 게 좋다.
만들기
재료 : 모과 200g, 물 500mL, 꿀
1. 모과는 깨끗이 씻어 씨 부분을 도려내고 얇게 썰어 말려서 쓰거나,
말리지 않은 생 것 그대로 사용한다.
2. 주전자에 준비한 모과를 넣고 10분 이내로 끓인다.
모과차를 너무 오래 끓이면 고유의 향이 없어지며 떫은 맛이 난다.
3. 고운 체에 걸러 찻잔에 따르고 기호에 맞게 꿀을 섞어 마신다.
2. 국화차
예로부터 국화차는 임금이 즐겨 마시던 차로, 동의보감에서는 마시는 물 중에
으뜸은 정화수(井華水)이고, 그 다음은 한천수(寒泉水), 그리고 다음이 국화수(菊花水)라고 했다.
국화수는 성질이 온순하고 맛이 달며 독이 없는 물로 알려져 왔다.
국화차는 주로 10월~11월 사이의 국화를 건조시켜 만드는데, 특유의 향과 빛깔 그리고 독특한 맛이 있다.
여러 차례 우린 후에도 풍부한 잔향이 남아있어 여운을 즐기며 가을을 느끼기에 손색이 없는 차이다.
국화 중에서도 쌀쌀한 날씨 속에서도 꼿꼿하게 피는 우리나라의 감국(甘菊)으로 만든 차는
특히 맛과 향이 뛰어나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국화차는 비타민 A와 B, 콜린, 스타키드린, 아데닌 등 몸에 좋은 성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데,
특히 눈을 밝게 하고 머리를 시원하게 해주어 어지럼증, 두통, 스트레스 해소에 좋아
현대인에게 여러모로 유익하다. 이 밖에도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만들어 몸에 열이 많거나
찬 사람들의 열을 효과적으로 조절해 주며, 술 마시기 전이나 후에 국화차를 마시면 숙취 해소에도 도움이 된다.
만들기
재료 : 국화꽃
1. 활짝 피기 전의 국화꽃을 봉우리째 따서 깨끗하게 씻어 물기를 없앤다.
2. 찜기에 물을 넣고 약간의 김이 오를 때쯤 받침위로 국화를 골고루 펴
솥뚜껑을 닫고 솥 밖으로 김이 새어 나올 때 불을 끈다.
3. 채반에 골고루 잘 펴서 반 그늘에서 바짝 말린 다음 은은하게 달구어진 솥에 살짝 덖음하면 완성된다.
4. 음용할 때는 말린 국화 꽃송이 3~5개를 90도 정도의 뜨거운 물에 2~3분 정도 우린 뒤,
잔에 담아 꽃잎을 띄워 내면 된다.
3. 대추차
유난히 추위를 많이 탄다면 맛과 영양이 뛰어난 대추차가 좋다.
대추의 단맛이 신경을 안정시키고 몸을 편안하게 해주어 평소 스트레스가 심한 사람에게 좋다.,
대추는 따뜻한 성질을 띄고 있어 말린 대추를 달여 마시면 혈액순환과 수족냉증에 도움이 된다.
또한 대추는 독이 없어 오장을 보호하고 기운부족을 낫게 하여 꾸준히 먹으면 체력이 좋아지고 활력이 생긴다.
대추에 함유된 베타카로틴 성분은 인체에 유해한 활성산소를 없애 노화 방지에 도움을 주며,
대추씨에는 신경을 이완시켜 잠을 잘 오게 하는 성분이 함유되어
대추씨를 넣어 달여 마시면 불면증 해소에도 도움이 된다.
대추는 대부분의 보양 재료로 사용될 정도로 다른 여러 약재들과 잘 어우러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대추차에 대추 이외의 식재료를 같이 넣어 먹어도 좋다.
만들기
재료 : 건대추 300g, 물 3L
1. 건대추를 물에 잘 씻어 돌려 깎아 씨를 발라낸다.
2. 끓는 물에 대추와 대추씨를 넣고 센 불로 끓이다가 약한 불로 서서히 달여 준다.
이때 기호에 따라 생강, 계피, 감초, 인삼 등 선호하는 식재료를 추가 하여도 좋다.
3. 푹 끊인 후 건더기를 건져내어 대추는 고운체에 으깨서 껍질과 과육을 분리한다.
4. 이 과육을 대추 끊인 물에 넣고 다시 한번 걸쭉하게 끊이면 진한 대추차가 완성된다.
대추에는 당분이 많으므로 설탕이나 벌꿀은 따로 넣지 않아도 된다.
4. 생강차
예로부터 생강차를 자주 먹는 것이 장수의 비결이라는 말이 전해져 내려올 정도로
건강에 좋은 차가 바로 생강차이다. 생강은 아무 때나 나지만 특히 가을철 나는 햇 생강은
매운 맛이 적고 향이 부드러우며 껍질이 잘 벗겨져 생강차를 담기 적당하다.
생강차는 면역력을 높이고 가래를 없애주기 때문에 특히 목 감기에 좋다.
따뜻한 성질을 띄고 있어 체내에 열을 발생시키고 냉기가 몸 밖으로 배출되게 하여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므로 평소 추위를 잘 타고 손발이 냉한 사람들에게 좋다.
또한, 위점막의 자극을 통해 위액의 분비를 증가시켜 소화가 잘되도록 도와주며,
위를 따뜻하게 해주는 작용이 있어 찬 것을 너무 많이 먹었을 때나 멀미로 속이 메슥거리고
토하려고 할 때 생강차를 마시면 도움이 된다.
단, 몸에 열이 과도하게 많은 사람이나 위산분비가 많아 위장장애를
겪고 있는 사람은 생강차를 피하는 것이 좋다.
만들기
재료 : 생강 400g, 설탕 or 꿀 400g
1. 껍질을 깐 생강을 깨끗하게 씻어 물기를 없앤다.
2. 생강을 채쳐서 설탕이나 꿀로 재워둔다. 이때 기호에 따라 레몬을 갈아 넣거나
사과를 채 썰어 같이 넣어도 좋다.
3. 실온에 몇 시간 두면 물기가 생기는데 이때 가라앉은 설탕을 다시 잘 섞어서
밀폐용기에 넣어 냉장고에서 3일간 숙성 시켰다 물에 타서 먹으면 된다.
--- 수신 글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콜레스테롤 높이는 7가지 방법 (0) | 2016.11.11 |
---|---|
먹으면 약이 되는 음식 (0) | 2016.11.08 |
냉장고에 넣으면 쉽게 상하는 것들... (0) | 2016.10.12 |
소식(小食)이 운명을 바꾼다 (0) | 2016.10.06 |
발효식품이 좋은 이유 (0) | 2016.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