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로운 글

오래된 짐을 버리는 법 / 법상스님

덕 산 2024. 12. 20. 06:16

 

 

 

 

 

오래된 짐을 버리는 법 

 

나는 때때로 간디가 말한

'욕망이 아닌 필요에 의한 삶'에 내소유를 대입시켜 본다.

소유하고 있는 것을 가만히 바라보고 있노라면.

이것이 욕망의 소산인지, 아니면 최소한의

필요의 범주에 들어 있는 것인지 알 수 있다.

최소한의 필요가 아닌 것들은 대개 욕망이 개입 된 것들이다.

 

때때로 이런 정리의 시간이 내게는

일종의 삶의 점검의 때이기도 하다.

소유하고 있는 것들의 무게가 얼마만큼인지,

그것이 내가 감당할 수 있을 만큼인지,

아니면 필요 이상으로 넘쳐나느 것들인지를 수시로

확인해보는 오래된 습관 같은 것이다.

내가 이런 정기적인 정리의 버림의 작업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출가에 있다.

 

소유하고 있는 것들 하나하나마다 독특한 애착과

추억들이 담겨 있기에 물건 하나를 정리하는 일은

애착과 추억까지도 함께 버리는 작업이다.

그것이 어려운 일이었다.

 

그러면서 순간 내 마음을 보게 되었다.

이런 것이 출가구나. 작은 것 하나하나에도 이렇듯

특별한 애착들이 서려 있다는 것에 새삼 놀랐다.

이러한 정리의 과정, 작은 것에서부터 집착을 버리는 과정,

비움과 나눔의 과정이야말로 참된 의미의 출가가 아닐까 싶었다.

 

출가는 한 번 하고 마는 것이 아니라

매 순간 해나가는 것이다.

매 순간 비움과 나눔의 정신이

내 안에 깃들어 있는 것, 그것이 바로 출가의 의미다.

그간에 쌓여 있는 짐을 보며 일 때문에

어쩔 수 없는 것들이라고 위로하며 살았지만,

때때로 정신을 차리고 내 방 안을 되돌아보면 아차 싶은 생각이 든다.

그럴 때면 어김없이 초심으로 돌아가 정리의 작업,

출가의 작업을 시작해보고는 한다.

 

쌓여 있는 것들이 많으면 그 만큼 우리의 정신도 단정해질 수 없다.

쓰지 않고 쌓아두기만 한 짐들은 탁한 에너지 장을 형성하고

그것은 그대로 우리 마음을 탁하게 만들곤 한다.

꼭 필요한 것이 꼭 필요한 공간을 점유하는 공간에서

비로소 맑은 향기가 피어나오고 청정한 에너지가 뿜어져 나오는 것이다.

 

소유물이 줄어들고,

집착이 줄어들수록 그 정신 또한 맑게 비워지는 것이다.

버릴 때는 어려워도 시원스레 버리고 나면

그 만큼 자유롭고 평화롭기 마련이다. 이

런 자유로움은 아무나 느낄 수 없는 것이지만,

또 누구나 한 번의 무소유를 실천함으로써 쉽게 얻을 수도 있다.

 

정기적으로 버림의 실천을 행하는 것도 좋겠다.

이렇게 버릴 수 있는 사람은 무엇인가를 사거나 얻게 될 때라도

함부로 욕망에 휘둘리지 않고 훗날 버릴 것을 생각하기 때문에

소유의 굴레 속에서 그 만큼 자유로울 수 있다.

 

방안을 한번 휘휘 돌아보라,

방 안 곳곳 집착과 욕망의 소유물들이 넘쳐난다.

지금 그 안에서 살고 있는 나는 그 소유물들에

소유당하여 휘둘리고 있지 않는가,

물론 조금의 편리함은 있겠지만,

도리어 더 큰 살뜰한 행복감을 잊고 있지는 않은가.

 

때가 되어 나뭇잎을 떨어뜨린 가지는 홀가분한 자유를 느꼈을 것이다.

낙엽을 다 떨어뜨린 무소유의 호젓한 가지만이

한겨울 그 어떤 추위에도 결코 시들지 않고 우뚝 솟아

그 텅 빈 가지 위로 아름다운 꽃눈을 피우고 있지 않은가.

 

우리의 삶 또한 때가 되면 훌훌 털어 버리고 일어나야

그 텅빈 무소유안에서 새로운 삶의 향기로움을 다시 채울수 있을 것이다.

이제 내가 소유하고 있는 모은 것들로부터 또

나를 소유하고 있는 이 모든 소유물로부터 자유로워지자.

 

- 법상스님의 목탁소리 중에서 -